임상심리사 자격증 실기 예상 문제

  1. 인간중심 상담에서 로저스(Rogers)가 강조한 치료자의 특성을 3가지 쓰시오(********)

① 진실성(일치성, Congruence)

②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③ 공감적 이해(Empathic Understanding)

 

  1. 인간중심치료에서 로저스(Rogers)가 제시한 내담자의 긍정적 성격변화를 위한 치료의 필요충분조건을 4가지 쓰시오(*)

① 두 사람이 심리적 접촉을 하고 있어야 함

② 내담자가 불일치를 경험하고 있어야 함 (자기 개념과 경험 간의 불일치)

③ 치료자가 일치성(진실성, 진정성)을 지니고 있어야 함

④ 치료자가 내담자를 무조건적으로 긍정적으로 존중해야 함

⑤ 치료자가 내담자의 내적 세계를 공감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함

 

  1. 상담장면에서 내담자는 성격발달의 수준이나 불안의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의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내담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방어기제의 의미와 유형을 5가지만 쓰시오.(*****)

1) 방어기제의 의미

방어기제는 내면의 갈등이나 불안을 무의식적으로 완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심리적 전략으로, 자아가 위협을 느낄 때 자신을 보호하려는 무의식적 시도입니다.

2) 방어기제의 유형

① 억압(Repression): 받아들이기 힘든 생각이나 감정을 무의식에 눌러두는 것

② 부정(Denial): 현실을 인정하지 않고 외면하는 것

③ 투사(Projection):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타인에게 전가하는 것

④ 합리화(Rationalization): 자신의 행동이나 감정을 그럴듯하게 정당화하는 것

⑤ 퇴행(Regression): 이전 발달 단계의 행동으로 되돌아가는 것

⑥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실제 감정과 반대되는 감정을 과장되게 표현하는 것

⑦ 보상(Compensation): 약점을 다른 영역의 성취로 보완하려는 것

⑧ 동일시(Identification): 불안을 줄이기 위해 타인의 특성을 모방하는 것

⑨ 대치(Displacement): 감정을 원래 대상이 아닌 다른 대상에게 옮기는 것

⑩ 승화(Sublimation): 바람직하지 않은 충동을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

 

  1. 얄륨(Yalom)이 제시한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인을 6가지 기술하시오.(*******)

① 희망 고취(Instillation of Hope)

→ 다른 집단원의 회복 사례를 통해 자신도 변화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함

② 보편성의 인식(Universality)

→ 자신만 겪는 문제라 여겼던 어려움이 보편적인 것임을 깨닫고 위안 얻음

③ 정보 전달(Imparting Information)

→ 심리적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지식, 조언, 피드백 등을 획득

④ 이타주의(Altruism)

→ 자신의 조언이나 지지가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될 때 자기 가치감을 느낌

⑤ 대인관계 학습(Interpersonal Learning)

→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관계 방식과 문제를 인식하고 수정

⑥ 정서적 정화(Catharsis)

→ 억압된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정서적 긴장을 해소하고 치유 경험

⑦ 모방 행동(Imitative Behavior)

→ 집단 내 타인의 긍정적인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새로운 행동 습득

⑧ 집단 응집력(Group Cohesiveness)

→ 소속감과 유대감, 신뢰를 바탕으로 자기 개방과 심리적 안정 경험

⑨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향상(Development of Socializing Techniques)

→ 집단 내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소통, 공감, 갈등 해결 등 사회적 기술을 연습

⑩ 실존적 요인들(Existential Factors)

→ 삶과 죽음, 책임, 자유, 의미 등 실존적 주제를 성찰하고 수용

 

  1. 얄롬(Yalom)이 제시한 실존주의 상담에서 인간의 궁극적 관심사 4가지를 쓰시오(*)

① 죽음

② 자유

③ 고립

④ 무의미

⑤ 책임

 

  1. 집단상담의 내담자로서 집단성원들의 적절한 자기노출을 위한 지침을 5가지 쓰시오. (**)

① 자기노출은 자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② 감당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이야기한다

③ 집단의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공유한다

④ 타인의 자기노출을 존중하고 비교하지 않는다

⑤ 자기노출 이후 감정을 성찰하고 공유한다

⑥ 신뢰 형성 후 점진적으로 깊은 내용 공유

⑦ 다른 구성원의 반응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1. 집단상담의 장점 및 제한점을 각각 3 가지씩 쓰시오.(**)

1) 집단상담의 장점

① 다양한 피드백 제공

② 소속감과 지지 경험

③ 대인관계 기술 향상

④ 자기이해와 통찰 촉진

⑤ 경제성과 효율성

2) 집단상담의 제한점(단점)

① 비밀보장의 어려움

② 개별적 관심 부족

③ 집단 내 갈등.위축 가능성

④ 참여자의 저항과 소극성

⑤ 집단 구성의 어려움

 

  1. 집단상담의 집단 과정에서 집단 구성 시 현실적 고려사항을 5가지 쓰시오(*)

① 집단의 목적과 목표 명확화

상담 집단의 성격과 방향성을 분명히 하여, 이에 적합한 집단원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② 집단원의 문제와 욕구 파악

구성원들이 다루고자 하는 문제나 욕구가 집단의 목표와 일치하는지 사전에 파악해야 합니다.

③ 집단원의 동질성과 이질성의 균형

공통된 특성을 가진 구성원으로 집단의 응집력을 확보하면서도, 적절한 다양성이 있어야 역동적 상호작용이 가능합니다.

④ 집단원의 수(집단 크기)

일반적으로 6~10명이 이상적이며, 집단의 성격과 목적에 따라 적절한 인원 수를 결정해야 합니다.

⑤ 참여 동기 및 자발성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를 갖고 있는지가 중요하며, 이는 집단 내 몰입과 지속성을 높입니다.

⑥ 시간적·공간적 접근성

상담이 진행될 시간과 장소가 구성원들에게 무리가 없는지,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인지 고려해야 합니다.

⑦ 구성원의 심리적 준비 상태

집단상담에 대한 이해도와 감정 표현에 대한 개방성, 타인에 대한 수용 태도 등이 준비되어 있는지 사전 면접 등을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1. 놀이치료에서 놀이는 치료적 가치가 있다. 놀이의 치료적 가치를 5가지 쓰시오(*****)

① 정서 표현 및 정화

→ 놀이를 통해 아동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을 자연스럽게 드러내고 해소한다.

② 자기 이해와 통찰 촉진

→ 상징적 놀이를 통해 아동은 자신의 내면을 인식하고 문제에 대한 통찰을 얻는다.

③ 문제 해결 능력 향상

→ 다양한 역할 놀이를 통해 아동은 대안적 사고와 문제 해결 전략을 배운다.

④ 사회성 및 대인관계 기술 발달

→ 또래와의 놀이 속에서 아동은 협동, 의사소통 등 사회적 기술을 익힌다.

⑤ 자기조절 능력 향상

→ 놀이 규칙을 따르며 아동은 충동 조절과 인내심을 기르게 된다.

⑥ 창의성과 상상력 발달

→ 자유로운 놀이를 통해 아동은 창의력과 상상력을 표현하고 확장한다.

⑦ 심리적 안정과 스트레스 해소

→ 놀이에 몰입하며 아동은 불안과 긴장을 줄이고 정서적 안정을 느낀다.

 

  1. 벡(Beck)의 인지적 오류 5가지를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① 이분법적 사고

→ 상황을 흑백논리로 극단적으로 해석한다. 예: “완벽하지 않으면 실패야.”

② 과잉일반화

→ 한두 번의 경험을 전체 상황에 일반화하려 한다. 예: “한 번 실패했으니 계속 실패할 거야.”

③ 정신적 여과

→ 전체 중 부정적인 정보만 받아들인다. 예: “칭찬은 무시하고 비판만 기억함.”

④ 개인화

→ 통제할 수 없는 사건을 자신의 탓으로 여긴다. 예: “팀 분위기가 안 좋은 건 내 잘못이야.”

⑤ 파국화

→ 작은 문제를 최악의 상황으로 확대 해석한다. 예: “시험 망치면 인생 끝이야.”

⑥ 임의적 추론

→ 근거 없이 부정적인 결론을 내린다. 예: “인사 안 한 걸 보니 나를 싫어하는 거야.”

⑦ 과장과 축소

→ 실수는 크게, 성취는 작게 해석한다. 예: “작은 실수도 큰 문제처럼 느껴짐.“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만약 이번 학기에 전 과목에서 A학점을 받지 못한다면, 이번 학기는 실패한 것이나 다름없어.

(1) 백(Beck)의 인지치료에서 보기의 내용과 관련된 인지적 오류의 유형을 제시하시오.

이분법적 사고(Dichotomous Thinking)

→ 성취를 흑백논리로 극단적으로 해석함. A학점이 아니면 전부 실패라고 간주함.

(2) 위의 인지적 오류를 수정하는 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치료기법을 쓰고 간략히 설명하시오.

인지 재구조화(Cognitive Restructuring)

→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사고를 논리적으로 반박하고, 보다 현실적이고 유연한 사고로 대체하는 기법.

 

  1. 다음은 벡(Beck)의 인지적 왜곡의 유형과 그에 대한 설명을 나열한 것이다. 아래의 빈칸에 들어갈 인지적 왜곡의 유형을 보기에서 찾아 순서대로 쓰시오.(*)
과잉일반화

정신적 여과

예언자적 오류

감정적 추리

흑백논리

독심술적 오류

잘못된 명명

개인화

파국화

임의적 추론

(ㄱ) 한두번의 사건에 근거하여 일반적인 결론을 내리고 무관한 상황에도 그 결론을 적용시킨다

(ㄴ) 자신과 무관한 사건을 자신과 관련된 것으로 잘못 해석한다.

(ㄷ) 충분한 근거 없이 다른 사람의 마음을 마음대로 추측하고 단정한다

(ㄹ) 어떤 상황에서 일어난 여러 가지 일 중에서 일부만을 뽑아내어 상황 전체를 판단한다.

(ㅁ) 결론을 지지하는 증거가 없거나 증거가 결론과 배치되는데도 불구하고 어떤 결론을 이끌어낸다.

(ㅂ) 충분한 근거 없이 미래에 일어날 일을 단정하고 확신한다.

(정답)

(ㄱ) 과잉일반화

(ㄴ) 개인화

(ㄷ) 독심술적 오류

(ㄹ) 정신적 여과

(ㅁ) 임의적 추론

(ㅂ) 예언자적 오류

 

  1. 백(Beck)의 인지치료에서 핵심 과제 중 하나인 자가점검은, 사고를 5개의 칼럼으로 구조화하여 점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벡(Beck)과 그의 동료들이 제안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고기록지의 5개 칼럼 내용을 쓰시오(*)

① 상황(Situation)

→ 자동적 사고가 일어난 구체적인 상황이나 맥락

② 감정(Emotions)

→ 그 상황에서 느꼈던 감정과 감정의 강도

③ 자동적 사고(Automatic Thoughts)

→ 그 순간 떠오른 생각이나 이미지

④ 인지적 오류(Cognitive Distortions)

→ 자동적 사고에 포함된 인지적 왜곡의 유형

⑤ 합리적 반응 및 결과(Alternative Response and Outcome)

→ 보다 현실적이고 균형 잡힌 생각, 그로 인한 감정 변화

 

  1. 재활모형에서 손상(Impairment), 장애(Disability). 핸디캡(Handicap)의 의미를 쓰고, 개입방법 상의 차이점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① 손상(Impairment)

→ 신체 또는 정신 기능의 구조적·기능적 손실

예시 개입방법: 뇌졸중으로 편측 마비가 있는 경우, 물리치료나 작업치료를 통해 기능 회복을 돕는다.

② 장애(Disability)

→ 손상으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에 제한이 있는 상태

예시 개입방법: 마비로 인해 혼자 걷기 어려운 경우, 보행보조기나 휠체어 제공

③ 핸디캡(Handicap)

→ 장애로 인해 사회적 역할이나 참여에 제약을 받는 상태

예시 개입방법: 휠체어 사용자에게 경사로 설치, 대중교통 접근성 개선, 직업재활 프로그램 연결

 

  1. 재활모형에서 손상(Impairment)과 불이익(Handicap)에 대한 대표적인 개입방법을 예시를 들어 각각 쓰시오(*)
예) A씨는 교통사고를 당하여 한쪽 다리를 절단하는 수술을 받게 되었다.

① 손상(Impairment)에 대한 개입방법

→ 의족 착용 및 물리치료, 재활운동 제공

예: A씨가 의족을 착용하고, 보행 훈련을 통해 기본적인 이동 능력을 회복하도록 지원함

② 불이익(Handicap)에 대한 개입방법

→ 장애인 전용 주차권 제공, 직장 내 접근성 개선, 사회참여 프로그램 연계

예: A씨가 휠체어를 이용해 직장에 출근할 수 있도록 건물 내 경사로를 설치하고, 장애인 고용 관련 제도를 통해 직장 복귀를 지원함

 

  1. 전문가로서 임상심리사가 지켜야 할 일반 상담윤리로서의 윤리원칙을 6가지 쓰시오. (****)

① 유능성(Competence)

→ 임상심리사는 자신의 지식과 기술, 자격 범위 내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전문성을 유지해야 함.

② 성실성(Integrity)

→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정직하고 공정하게 행동하며, 사적인 이익을 위해 정보를 왜곡하거나 조작하지 않아야 함.

③ 전문적·과학적 책임(Professional and Scientific Responsibility)

→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개입을 하며, 자신의 개입이 내담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책임감을 가지고 수행해야 함.

④ 인간의 권리와 존엄에 대한 존중(Respect for People’s Rights and Dignity)

→ 내담자의 자율성과 사생활, 기밀성을 존중하며, 성별, 인종, 종교, 장애 등 모든 다양성을 존중해야 함.

⑤ 타인의 복지에 대한 관심(Concern for Others’ Welfare)

→ 내담자의 안전과 복지를 최우선으로 하며, 해를 끼치는 개입이나 관계를 피해야 함.

⑥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 심리학적 지식을 통해 사회적 복지에 기여하고, 불의나 착취에 반대하며 공동체를 위한 책임 있는 태도를 지녀야 함.

 

  1. 임상심리사의 윤리원칙으로서 유능성의 의미를 설명하고, 이를 위반하는 이유를 3가지 쓰시오.(**)

1) 유능성(Competence)의 의미

→ 임상심리사는 자신의 지식, 기술, 자격 범위 내에서만 전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전문성을 유지하고 향상시켜야 함.

2) 유능성 위반의 이유 3가지

① 지속적인 교육과 수련 부족

②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지 못하고 무리한 개입 시도

③ 새로운 이론이나 기법에 대한 이해 없이 적용

 

  1. 상담자의 윤리적 책임에는 내담자와 이중관계를 맺지 않는 것이 있다. 이중관계의 의미와 이를 피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① 이중관계의 의미

→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에 상담 외적인 관계(친구, 가족, 금전거래, 고용관계 등)가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

② 피해야 하는 이유 및 예시

→ 이중관계는 상담의 객관성과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며, 내담자의 심리적 혼란이나 의존, 관계 왜곡을 유발할 수 있음.

예: 상담자가 자신의 조카를 내담자로 상담할 경우, 가족관계가 개입되어 객관적인 상담 진행이 어렵고, 조카도 솔직한 감정 표현에 제약을 느낄 수 있음.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A군은 임상심리학 전공 대학원생으로, ㅇㅇ 상담센터에서 실습을 하고 있다. A군은 자신이 개발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상담에 적용해 보려던 차에 마침 평소 자신이 호감을 가지고 있던 한 여학생이 상담센터를 찾아와 상담을 신청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 A군은 그 여학생과의 상담을 자신이 맡겠다고 제안하였다.

보기의 내용에 제시된 A군의 행동이 윤리적으로 타당한지의 여부를 쓰고 그에 대한 이유를 제시하시오.

① 윤리적으로 타당하지 않음

② 이유

→ A군은 내담자에게 개인적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 내담자를 직접 상담하겠다고 한 행동은 다중관계의 위험을 초래함.

→ 이는 전문성과 객관성을 훼손할 수 있으며, 내담자에게 심리적 혼란이나 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

→ 또한, 자신이 개발한 프로그램을 실험적으로 적용하려는 의도 역시 내담자를 수단화하는 비윤리적 행위로 간주됨.

 

  1. 내담자와의 관계에 있어서 치료자는 내담자와 다중관계를 피해야 한다. 여기서 다중관계의 의미를 쓰고, 치료자로서 이를 다루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

① 다중관계의 의미

→ 치료자와 내담자 사이에 상담 관계 외에 또 다른 사회적, 직업적, 금전적 관계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생길 가능성이 있는 경우

② 치료자로서 다루는 방법

→ 다중관계가 내담자에게 해를 줄 가능성이 있다면 반드시 피해야 하며,

불가피한 상황에서는 상담 전 명확한 경계 설정과 충분한 설명 및 동의, 윤리적 자문과 감독 활용 등을 통해 위험을 최소화해야 함.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올해 15세로 중학교 3학년인 A군은 평소 학교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며 거의 매일 아침 등교시간마다 학교가기를 거부하고 있다. A군은 학교에서 아이들이 자신과 놀아주기는 커녕 괴롭히고 따돌린다면서 학교에 가는 것이 죽고 싶을 만큼 싶다고 불평을 늘어놓았다. A군은 또래 아이들에 비해 골격이 크고 당당한 체구이며 어려서부터 태권도를 좋아하여 현재까지 도장에 다니고 있다. 그러나 A군은 중학교에 진학한 이후 성적이 최하위권으로 떨어졌으며, 현재 A군의 담임 선생님은 최근 실시한 집단지능검사의 결과와 함께 A군의 일반계 고등학교 진학이 어렵다는 이야기를 A군의 어머니에게 알려주었다고 한다. A군의 어머니는 자신의 아들이 담임선생님의 이야기처럼 고등학교 진학이 어려울 만큼 심각한 상태인지, A군이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앞으로 A군을 어떠한 방식으로 훈육해야 할 것인지 등의 문제를 호소하고 있다. 심리평가를 위해 A군과 A군의 어머니가 내원했을 때 A군은 무표정한 얼굴에 약간 어눌한 말투를 보였으며, 발음도 부정확했다. 또한 대답하는 것을 귀찮아하는 듯 매우 짧은 답변으로 일관했으며, 자신의 문제들을 쉽게 포기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1) 보기의 내용에 제시된 내담자 A군의 문제와 관련하여 적절한 치료계획을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측면에서 4가지 기술하시오(**)

① 인지적 측면: 부정적 자동사고(“나는 쓸모없어”, “학교는 지옥이야”)를 파악하고 현실적이고 긍정적인 사고로 교정하는 인지 재구조화

② 정서적 측면: 또래 따돌림에 따른 불안, 우울 등의 감정을 표현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감정 표현 훈련 및 공감적 상담 제공

③ 행동적 측면: 점진적 노출 기법을 통해 등교 거부 행동을 줄이고 학교 환경에 대한 적응 촉진

④ 사회기술훈련: 또래 관계에서 필요한 의사소통, 자기 주장, 갈등 해결 기술을 연습하고 강화

2) 보기의 사례에 제시된 내담자 A군의 행동변화를 위한 행동수정의 원리 3가지를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① 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바람직한 행동(예: 등교, 또래와의 대화 등)에 대해 칭찬이나 보상 제공하여 행동 증가

② 모델링(Modeling): 사회적 기술이나 문제해결 전략을 시범 보이는 모델을 통해 새로운 행동 학습

③ 소거(Extinction): 부적절한 행동(예: 회피, 무응답)에 대해 관심이나 반응을 줄여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킴

3) 위의 사례에 제시된 내담자 A군이 또래에게 따돌림을 당하고 있다면, 초기 호소증상 외에 사고.정서.행동의 측면에서 어떤 양상이 나타날 수 있는지를 각각 2가지씩 쓰시오.

->사고적 양상:

① “나는 아무도 안 좋아해”라는 과잉 일반화

② 자신이 문제라고 여기는 자기비난적 사고

->정서적 양상:

① 지속적인 불안, 긴장

② 무기력감, 우울감

->행동적 양상:

① 대인기피, 사회적 위축

② 등교 거부, 회피 행동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내담자: “저는 지난밤 너무도 기이한 꿈을 꾸었어요. 아버지와 함께 숲으로 사냥을 나섰는데요. 사냥감에 온통 주의를 기울이느라 깊숙한 곳까지 다다르게 되었죠. 그런데 갑자기 바위 뒤에서 커다란 물체가 튀어나오는 거예요. 저는 순간 사슴인 줄 알고 방아쇠를 당겼지요. 어렴풋이 그 물체가 쓰러진 듯이 보였고, 저는 두근거리는 가슴을 부여잡은 채 서서히 다가갔어요. 가까이 가보니 그는 사슴이 아닌 아버지였어요. 아버지가 숨을 쉬지 않은 채 죽어 있더라고요. 저는 너무도 황당하고 두려워서 잠에서 깨어났는데요. 등에서는 식은땀이 줄줄 흐르더라고요“

보기의 내담자가 이야기한 꿈의 내용을 듣고 상담자가 “명료화”와 “직면”으로 반응하는 것을 대화체로 쓰시오.

① 명료화

→ “비록 꿈이지만, 총을 잘못 쏘아 아버지를 돌아가시게 한 것에 대해 죄책감 같은 것을 느꼈는지도 모르겠군요”

② 직면

→ “혹시 권위적이고 무관심한 아버지가 일찍 사고로 세상을 떠났으면 하는 생각이 마음 한구석에 있었는지도 모르겠군요”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내담자: 저는 지난밤 너무도 기이한 꿈을 꾸었어요. 아버지와 함께 숲으로 사냥을 나섰는데요. 사냥감에 온통 주의를 기울이느라 깊숙한 곳까지 다다르게 되었죠. 그런데 갑자기 바위 뒷면에서 커다란 물체가 튀어나오는 거에요. 저는 순간 사슴인 줄 알고 방아쇠를 당겼지요. 어럼풋이 그 물체가 쓰러진 듯이 보였고 저는 두근거리는 가슴을 부여잡은 채 서서히 다가갔어요. 가까이 가보니 그 물체는 사슴이 아닌 아버지였어요. 아버지가 숨을 쉬지 않은 채 죽어 있더라고요. 사슴 사냥 장면이 나오는 영화를 본 지 며칠 안 돼서 그런 꿈을 꾸었는지 모르겠어요.

보기의 내담자가 이야기한 꿈의 내용을 듣고 상담자가 제시해야 할 적절한 반응을 반영, 직면, 해석의 상담기법으로 표현하시오.

① 반영

→ “당신은 그런 끔찍한 꿈을 꾸고 마음이 몹시 당황했군요.”

② 직면

→ “혹시 권위적이고 무관심한 아버지가 일찍 사고로 세상을 떠났으면 하는 생각이 마음 한구석에 있었는지도 모르겠군요”

③ 해석

→ “권위적인 존재에 대한 적개심을 간접적으로나마 인정하고 표현했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군요”

 

  1. 다음 보기의 내담자의 진술에 대한 상담자의 반응은 각각 어떤 개입기술에 해당하는지( )안에 쓰시오.(*)
내담자: 저는 지난밤 너무도 기이한 꿈을 꾸었어요 아버지와 함께 숲으로 사냥을 나섰는데요. 사냥감에 온통 주의를 기울이느라 깊숙한 곳까지 다다르게 되었죠. 그런데 갑자기 바위 뒤편에서 커다란 물체가 뛰어나오는 거예요. 저는 순간 사슴인 줄 알고 방아쇠를 담겼지요. 어렴풋이 그 물체가 쓰러진 듯이 보였고 저는 두근거리는 가슴을 부여잡은 채 서서히 다가갔어요. 가까이 가보니 그 물체는 사슴이 아닌 아버지였어요. 아버지가 숨을 쉬지 않은 채 죽어 있더라고요. 저는 너무도 황당하고 두려워서 잠에서 깨어났는데요. 등에서는 식은땀이 줄줄 흐르더라고요.

상담자: ( )

(1) 당신은 그런 끔찍한 꿈을 꾸고 마음이 몹시 당황했군요.( ① )

(2) 비록 꿈이지만, 총을 잘못 쏘아 아버지를 돌아가시게 한 것에 대해 죄책감 같은 것을 느꼈는지도 모르겠군요( ② )

(3) 혹시 권위적이고 무관심한 아버지가 일찍 사고로 세상을 떠났으면 하는 생각이 마음 한구석에 있었는지도 모르겠군요 ( ③ )

(4) 권위적인 존재에 대한 적개심을 간접적으로나마 인정하고 표현했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군요( ④ )

① 반영

② 명료화

③ 직면

④ 해석

 

  1. 행동치료기법 중 토큰 이코노미(Token Economy)의 장점을 5가지 쓰시오. (**)

① 즉각적인 강화 제공

→ 원하는 행동이 발생했을 때 바로 토큰을 제공하여 강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

② 구체적이고 명확한 기준 제시

→ 행동 목표가 명확하게 제시되므로 아동이나 내담자가 쉽게 이해하고 따를 수 있음.

③ 내적 동기 형성 촉진

→ 초기에는 외적 보상 중심이지만, 반복을 통해 자기조절 능력과 내적 동기로 전환될 수 있음.

④ 점진적 행동 변화에 효과적

→ 바람직한 행동을 세분화하여 작은 단위로 강화함으로써 점진적인 행동 변화 유도 가능.

⑤ 일관되고 체계적인 강화 가능

→ 가정, 학교, 치료 장면 등 여러 환경에서 동일한 기준으로 적용 가능하여 행동 유지에 유리함.

⑥ 자기조절력 향상에 도움

→ 아동이 토큰을 스스로 모으고 사용하는 과정을 통해 계획성, 인내심, 자기통제력을 기를 수 있음.

⑦ 긍정적 행동 강화에 집중

→ 문제행동을 처벌하기보다는 긍정적 행동을 강화함으로써 동기 부여와 자존감 향상에 효과적임.

 

  1. 토큰경제(Token Economy)에서 강화는 학습이론의 어떤 원리를 근거로 한 것인지 쓰시오.(*)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 원리를 근거로 함.

→ 바람직한 행동이 일어났을 때 즉각적인 강화물(토큰)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행동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는 데 목적이 있음.

 

  1. 파괴적 행동문제를 보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행동치료를 수행할 때 행동원리에 의한 정적 강화의 수준을 높여야 하는 이유 3가지 쓰시오(*)

① 보상추구 반응양식에 부합

→ 청소년은 보상을 통해 행동을 학습하려는 성향이 강하므로, 긍정적 행동에 대한 즉각적 보상은 바람직한 행동 형성에 효과적임.

② 처벌보다 강화가 더 효과적

→ 처벌은 저항, 반발, 위축을 유발할 수 있지만, 정적 강화는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행동 변화를 유도함.

③ 역기능적 훈육에 따른 부적 강화의 대체 필요

→ 일관되지 않은 통제와 훈육은 오히려 문제행동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정적 강화를 통해 새로운 긍정적 행동 경로를 제공해야 함.

④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력 향상

→ 정적 강화는 청소년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긍정적 결과를 인식하게 하여, 책임감과 자기통제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⑤ 강화 자극을 통한 긍정적 관계 형성

→ 교사나 부모가 긍정적 행동에 대해 보상을 제공하면, 청소년과의 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여 신뢰 형성과 협력적 상호작용에 도움이 됨.

 

  1. 행동치료에서 치료자들은 내담자의 행동을 간접 측정하기보다는 직접 측정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와 같이 행동을 직접 측정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포함시키는 특성 6가지를 쓰시오 (*)

① 행동의 빈도(Frequency)

→ 특정 행동이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② 행동의 지속 시간(Duration)

→ 행동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③ 행동의 강도(Intensity)

→ 행동이 일어날 때의 세기나 강도

④ 행동이 나타나는 상황(Antecedents/Stimulus Control)

→ 어떤 자극이나 상황에서 행동이 발생하는지

⑤ 행동의 결과(Consequences)

→ 행동이 일어난 후 어떤 결과가 뒤따르는지

⑥ 행동의 형태 또는 구체적 내용(Topography)

→ 행동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지, 즉 외형적 특징

 

  1. 불안장애에 대한 행동치료에 근거한 학습이론과 그 구체적인 치료기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① 근거한 학습이론:

→ 고전적 조건형성(Classical Conditioning) 이론

→ 불안은 중립 자극이 공포 자극과 반복적으로 결합되며 학습된 반응으로 이해됨

② 구체적인 치료기법과 예시:

→ 체계적 둔감화(Systematic Desensitization) : 불안 자극에 대해 점진적으로 노출시키면서 이완 반응을 조건화하는 기법

예: 강아지를 무서워하는 아동에게, 강아지 그림 → 강아지 영상 → 강아지를 멀리서 보기 → 가까이 다가가기 순서로 점진적

노출 진행, 각 단계에서 이완 훈련 병행

→ 노출치료(Exposure Therapy) : 회피하지 않고 불안 자극에 반복적으로 노출시켜 불안 반응의 소거를 유도

예: 비행기 공포를 가진 사람이 실제로 비행기를 타는 상황에 반복 노출됨으로써 불안 감소

→ 모델링(Modeling) : 타인이 불안 자극에 반응하지 않는 모습을 관찰함으로써 학습

예: 다른 아이가 개를 만지는 모습을 보고 자신도 점차 개에 대한 불안을 줄임

 

  1. 행동치료의 노출치료법을 통해 환자가 가지게 되는 인지적 측면의 치료효과를 3가지 쓰시오(*)

① 과도한 불안 예측의 수정

→ 실제 상황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서 예상했던 최악의 결과가 발생하지 않음을 경험하게 되어 비현실적인 불안 예측이 감소함

② 자기 효능감의 향상

→ 불안 자극을 스스로 견디고 통제할 수 있다는 경험을 통해 자신감과 자기조절 능력이 증가함

③ 왜곡된 사고의 재구성

→ “나는 그 상황을 감당할 수 없어” 같은 회피적이고 부정적인 자동사고가 점차 현실적이고 유연한 사고로 변화됨

 

  1. 행동수정을 목적으로 한 행동치료의 기법을 5가지 쓰시오(**)

① 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 바람직한 행동 뒤에 보상 자극을 제공하여 그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킴.

② 소거(Extinction)

→ 문제 행동에 대한 강화 자극(관심, 반응 등)을 제거하여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킴.

③ 처벌(Punishment)

→ 문제 행동 뒤에 불쾌한 자극을 제공하거나, 기존의 긍정 자극을 제거하여 행동을 억제함.

예: 꾸짖기, 놀이시간 박탈 등

④ 토큰 경제(Token Economy)

→ 목표 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토큰을 제공하고, 이를 나중에 보상과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행동을 강화함.

⑤ 체계적 둔감화(Systematic Desensitization)

→ 불안 유발 자극에 대해 점진적으로 노출시키면서 동시에 이완반응을 학습시켜 회피행동을 감소시킴.

⑥ 시간제한(Time-Out)

→ 문제 행동 발생 시 아이를 강화가 일어나지 않는 환경으로 일정 시간 격리하여, 행동의 빈도를 줄임.

예: 조용한 공간에 혼자 있도록 하기

⑦ 행동 조성(Shaping)

→ 목표 행동에 가까운 행동부터 점진적으로 강화하여 점차 바람직한 행동을 형성해 나감.

예: 한 번에 완성된 행동이 아닌, 중간단계를 단계별로 강화

 

  1. 행동치료의 방법 중 용암법(Fading)과 조형법(Shaping)에 대해 설명하시오.(*)

① 용암법(Fading)

→ 처음에는 많은 도움(신체적, 언어적 등)을 주어 목표 행동을 유도하고, 점차 그 도움을 줄여가며 스스로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 예: 아동이 글씨를 쓰도록 손을 잡고 도와주다가 점차 도움을 줄여 혼자 쓰게 함

② 조형법(Shaping)

→ 목표 행동을 한 번에 하지 못할 때, 목표에 가까운 행동부터 단계적으로 강화하여 점차 목표 행동에 도달하도록 하는 방법

→ 예: 말을 하지 않는 아이에게 처음엔 눈 맞춤에 강화, 다음엔 소리 내기, 단어 말하기 등 점진적으로 언어 표현을 강화함

 

  1. 행동치료는 다양한 형태의 치료를 포괄하는 것으로 그 기저에 가정하는 학습원리 측면에서의 강조점이 다르며, 그 구체적인 기법 및 절차의 측면에서도 다양하다. 그러나 이들 치료들은 공통된 특징을 가지는데, 행동치료의 주요 특징을 3가지 기술하시오

①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행동에 초점

→ 내담자의 외현적 행동을 중심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행동의 변화 여부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함.

② 학습이론에 기반한 치료

→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 사회학습이론 등 과학적 학습 원리를 토대로 행동을 설명하고 개입함.

③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목표 설정

→ 명확하고 달성 가능한 행동 목표를 설정하고,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계획함.

④ 치료 결과의 검증 가능성

→ 치료의 전후 효과가 행동 변화의 유무로 구체적으로 평가되며,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결과를 검토할 수 있음.

⑤ 단기적이고 구조화된 접근

→ 시간이 제한된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구체적 목표를 설정하고, 체계적 절차에 따라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집중함.

 

  1. 행동평가의 평가요소로서 4가지 변인으로 불리는 ‘SORC’의 의미를 쓰고 각각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시오(*)

① S (Stimulus, 자극)

→ 특정 행동을 유발하는 선행 자극이나 환경적 조건

예: 친구의 놀림으로 인해 공격적인 행동이 발생함

② O (Organism, 유기체 변수)

→ 개인의 생리적, 정서적, 인지적 특성 등 내부 상태

예: 낮은 자존감, 충동 조절의 어려움

③ R (Response, 반응)

→ 관찰 가능한 문제행동 자체

예: 고함치기, 물건 던지기

④ C (Consequence, 결과)

→ 행동 이후 따르는 결과나 강화 요인

예: 교사의 주의 집중, 또래의 반응, 벌 또는 보상

  1. 접수면접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5가지 쓰시오(**)

① 내담자 일반 정보

→ 이름, 성별, 나이, 연락처, 가족 구성, 직업, 학력 등 기본적인 인적 사항

② 주호소 문제

→ 내담자가 상담을 받으려는 주된 이유와 현재 가장 힘들어하는 문제

③ 문제의 발달 과정 및 배경

→ 문제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지금까지의 변화 과정과 경과

④ 과거력 및 심리사회적 정보

→ 정신건강 관련 치료 이력, 약물 복용, 가족력, 대인관계, 건강, 학업 및 직업 등 생활 전반의 정보

⑤ 상담 목표 및 기대

→ 내담자가 상담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 상담에 대한 기대나 동기

⑥ 내담자의 강점 및 자원

→ 내담자가 지닌 개인적 강점, 사회적 지지체계, 해결 자원 등 회복 가능성과 관련된 요소

⑦ 위기 및 위험 요소 확인

→ 자해, 자살, 타해 위험 등 즉각적인 개입이 필요한 위기 요소의 존재 여부

 

  1. 다음 보기는 슈퍼비전의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슈퍼비전의 기능을 쓰시오(**)

 

(1) ( A ) 기능은 슈퍼바이지의 업무능력 개선에 목표를 두고 업무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2) ( B ) 기능은 슈퍼바이지의 업무만족감 고취를 목표로 하여 효과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심리적 자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1) (A) 교육적 기능

(2) (B) 지지적(정서적) 기능

 

  1. 상담 슈퍼비전(Supervision)에서 회기 기록의 장점을 3가지 기술하시오(*)

① 객관적인 사례 검토 가능

→ 상담 내용을 구체적으로 문서화함으로써, 상담자가 놓친 부분이나 반복되는 패턴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

② 피드백 제공의 근거 확보

→ 회기 내용을 기반으로 슈퍼바이저가 실제 대화 내용에 근거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지도가 가능함.

③ 상담자의 전문성 향상

→ 자신의 상담 장면을 되돌아보며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를 통해 개인적 상담 스타일과 전문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음.

④ 상담 진행의 일관성 유지

→ 회기 간의 내용을 기록해 두면 이전 회기와의 연결성을 유지하며 상담 목표에 맞는 개입을 체계적으로 이어갈 수 있음.

⑤ 윤리적·법적 책임 대응 가능

→ 상담 기록은 윤리적·법적 상황에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어, 내담자 보호와 상담자의 책임 이행에도 도움이 됨.

 

  1. 심리치료자가 내담자에 대해 비밀보장을 할 수 없는 경우를 6가지 쓰시오(***)

① 내담자가 자해 또는 자살 위험이 높은 경우

② 타인을 해칠 의도를 가지고 있을 경우(타해 위험)

③ 아동학대, 노인학대, 장애인학대가 의심되거나 발견된 경우

④ 법원의 명령이나 소환 등 법적 요구가 있는 경우

⑤ 내담자가 동의한 경우(서면 동의 등)

⑥ 내담자가 정신질환 등으로 인해 자신의 안전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

⑦ 즉각적인 의료적 개입이 필요한 응급상황인 경우

⑧ 감염병 등의 공익 보호를 위한 법적 보고 의무가 있는 경우

 

  1. 다음은 상담장면에서 상담자가 내담자에 대한 비밀보장을 할 수 없는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한다. 각각의 질문에 답하시오(*)

(1) 상담자는 내담자가 스스로 자살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에 대한 대처방법을 3가지 쓰시오

① 즉각적인 안전 확보 : 내담자의 자살 위험 수준을 평가하고, 고위험군일 경우 보호자나 응급기관에 즉시 연락하여 생명 보호를 최우선으로 조치함.

② 전문기관 연계 : 정신건강의학과, 정신건강복지센터, 위기개입팀 등 전문적인 개입이 가능한 기관에 신속하게 연결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함.

③ 비밀보장의 제한 설명 : 내담자에게 자살 위험 상황에서는 비밀보장이 제한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상담자와의 신뢰를 유지하며 협력적인 관계를 도모함.

④ 감정의 공감 및 지지 제공 : 내담자의 고통과 절망감을 비판 없이 공감하고 경청하여, 정서적 지지를 통해 소외감과 고립감을 완화함.

⑤ 위기 대처 계획 수립 : 내담자와 함께 위기 시 연락 가능한 사람, 안전한 장소, 사용할 수 있는 자원 등을 포함한 위기대응 계획을 수립하고, 필요 시 가족 및 지지체계와 협력함.

(2) 상담자는 내담자가 타인을 살해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에 대한 대처방법을 3가지 쓰시오.

① 위협 대상자 보호 조치 : 내담자가 실제 타인을 해칠 계획을 언급한 경우, 해당 인물의 신변 보호를 위해 경고하거나, 필요한 경우 경찰에 즉시 신고함.

② 관계 기관에 보고 : 타해 계획은 형사범죄와 직접 관련되므로, 경찰, 정신건강복지센터 등 공적 기관에 보고하여 법적·행정적 개입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함.

③ 비밀보장의 제한 설명 : 내담자에게 타해 계획은 비밀보장이 적용되지 않는 예외 상황임을 설명하고, 신뢰를 해치지 않도록 조심스럽고 진심 어린 태도로 전달함.

④ 위험도 평가 및 기록 : 타해의 구체성, 실행 가능성, 계획 정도 등을 면밀히 평가하고, 상담자의 판단과 개입 과정은 정확하게 기록하여 윤리적·법적 책임을 대비함.

⑤ 심리적 개입과 지속적 관찰 : 내담자의 공격 충동을 표현하고 해소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며, 심리적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전문 정신과적 개입으로 연결함.

 

  1. 투사기법의 장점과 단점을 각각 4가지씩 기술하시오.(**)

1) 장점:

① 무의식 탐색 가능

② 방어기제 우회 가능

③ 표준화된 검사에서 드러나지 않는 특성 발견

④ 검사 상황에 대한 저항이 적음

⑤ 정서적 표현과 자유로운 반응 유도 가능

2) 단점:

① 신뢰도와 타당도 부족

② 해석의 주관성

③ 시간과 전문성이 요구됨

④ 검사 결과의 객관적 비교 어려움

⑤ 검사자 간 해석 일관성 확보의 어려움

 

  1. 심리검사 결과 해석 시 올바른 해석을 위해 주의할 사항을 5가지 기술하시오.(***)

① 검사 도구에 대한 정확한 이해

② 검사의 목적과 제한점 고려

③ 결과는 가능성의 관점에서 제시

④ 내담자의 이해와 참여 유도

⑤ 다양한 정보와의 통합적 해석

⑥ 문화적·개인적 특성 고려

⑦ 해석 내용의 윤리적 전달

 

  1. 심리평가 보고서를 작성할 때 심리검사 결과와 생활사적 정보를 통합하는 중요한 이유에 대해 기술하시오(*)

① 내담자의 전반적 이해 증진

② 심리검사 결과의 맥락적 해석 가능

③ 진단의 정확성과 타당성 향상

④ 개입 및 치료계획 수립에 유용

⑤ 내담자의 강점과 약점을 균형 있게 파악 가능

 

  1. 심리평가의 최종보고서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5가지만 쓰시오 (***)

① 기본 정보→ 이름, 성별, 생년월일, 학년 또는 직업, 평가일, 의뢰기관 및 의뢰사유 등 인적 사항

② 평가 목적 및 의뢰 배경→ 심리평가를 실시하게 된 이유와 내담자 또는 의뢰기관의 주요 관심사항과 배경 정보

③ 사용된 검사 및 실시 결과 요약→ 사용된 심리검사 목록과 각 검사의 간략한 결과, 행동관찰 등 포함

④ 행동 관찰 및 면담 소견→ 검사 과정 중 내담자의 태도, 반응 특성, 비언어적 행동 등 관찰 내용

⑤ 임상적 해석 및 종합 의견→ 검사 결과를 통합하여 해석한 내용으로, 내담자의 심리적 상태에 대한 전문가 의견 제시

⑥ 진단 또는 문제 영역 요약→ 필요한 경우 DSM 진단 또는 주된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요약 제시

⑦ 개입 및 치료에 대한 제안→ 상담, 치료, 교육적 접근, 환경적 조정 등 실질적인 개입 방안 제시

 

  1. 심리평가자의 역할과 관련하여 심리평가자의 ‘과학자로서의 자질’과 ‘예술가로서의 자질’에 대해 설명하시오(*)

① 과학자로서의 자질:

표준화된 검사 도구와 객관적 자료 해석 능력

신뢰도와 타당도 기반의 분석

체계적 사고와 논리적 추론 능력

② 예술가로서의 자질:

내담자의 특성과 맥락에 따른 유연한 해석

창의적이고 직관적인 통찰력

언어적·비언어적 표현에 대한 민감한 반응과 해석

 

  1. 기질 및 성격검사(TCI)의 하위척도를 이루는 4가지 기질과 3가지 성격을 쓰시오 (***)

1) 4가지 기질(Temperament)

① 자극추구 (NS; Novelty Seeking)

② 위험회피 (HA; Harm Avoidance)

③ 사회적 민감성 / 보상 의존 (RD; Reward Dependence)

④ 인내력 (PS; Persistence)

2) 3가지 성격(Character)

① 자율성 (SD; Self-Directedness)

② 연대감 (CO; Cooperativeness)

③ 자기초월 (ST; Self-Transcendence)

 

  1. 로샤검사 결과를 엑스너(Exner) 방식으로 채점하고자 한다. 엑스너 종합체계방식의 주요 채점 항목을 5가지만 기술하시오(***)

① 반응영역 또는 반응위치(Location)

→ 반응이 블롯의 전체(W), 일반적인 부분(D), 비전형적 세부(Dd) 중 어디에 주어졌는지를 나타냄.

② 발달질(Developmental Quality)

→ 반응이 얼마나 통합적이고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평가하며, 전체성과 복잡성 정도를 반영함.

③ 결정인(Determinants)

→ 반응을 유도한 자극의 성질로, 형태(F), 색(C), 운동(M), 음영(Shading) 등 지각의 근거가 무엇인지 나타냄.

④ 형태질(Form Quality)

→ 반응의 형태가 실제 잉크반점과 얼마나 잘 일치하는지로, 현실지각의 적절성을 평가함 (+, o, u, –로 구분).

⑤ 반응내용(Content)

→ 반응 속에 포함된 구체적인 내용(예: 사람, 동물, 식물, 해부학적 요소 등)을 기록함.

⑥ 평범반응(Popular Response, P)

→ 다수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반응으로, 현실 검증력과 사회적 상식 반영 정도를 나타냄.

⑦ 쌍반응(Pair, DQ2)

→ 대칭적인 이미지를 하나로 지각하여 반응한 경우로, 관계성이나 조직화 능력을 평가할 수 있음.

⑧ 조직화 활동(Organizational Activity)

→ 반응이 얼마나 조직적으로 전체 또는 세부를 체계화하여 표현되었는지 나타내며, 사고의 구조성과 관련됨.

⑨ 특수점수(Special Scores)

→ 공격성, 우울감, 상징성 등 병리적 또는 독특한 반응 특성을 수치화하여 정서·인지·대인 기능을 평가함.

 

  1. 로샤 검사(Rorschach Test)의 특수점수에서 특수내용의 종류를 3가지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

① AB (추상적 내용; Abstract Content)

→ 상징적이고 비구체적인 표현으로, 정서나 감각을 상징하는 반응에 부여됨.

예: “이건 뭔가 우울해 보여요”, “감정 같은 느낌이요”

② AG (공격적 운동; Aggressive Movement)

→ 싸움, 공격, 파괴 등의 공격적인 동작을 포함하는 반응에 채점됨.

예: “두 사람이 싸우고 있어요”, “괴물이 사람을 덮쳐요”

③ COP (협조적 운동; Cooperative Movement)

→ 둘 이상의 대상이 협력하거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반응에 부여됨.

예: “두 사람이 악수해요”, “친구끼리 도와주고 있어요”

④ MOR (병적인 내용; Morbid Content)

→ 죽음, 손상, 부패, 우울한 분위기 등 병리적이거나 부정적인 느낌이 드러난 경우.

예: “썩은 시체 같아요”, “찢긴 살 같은 느낌이요”

 

  1. 로샤 검사(Rorschach Test)의 구조적 요약에 제시되는 형태질 종류 3가지를 쓰시오.(*)

① FQx: 형태질의 분포를 나타내며, 현실 지각의 적절성 수준을 보여줌.

② MQual: 운동 반응의 형태질 수준으로, 상상과 현실의 조화를 평가함.

③ W+D: 반응에서 전체(W)와 세부(D) 위치 사용 비율로, 정보 처리 스타일을 파악함.

 

  1. 로사 검사(Rorschach Test)에서 반응영역의 기호 ‘D’, ‘Dd’, ‘S’의 정의와 기호화 기준을 쓰시오(**)

① D(흔한 부분 반응): 흔히 이용되는 잉크 반점 영역이 반응에 사용된 경우

② Dd(드문 부분 반응): 드물게 이용되는 잉크 반점 영역이 반응에 사용된 경우

③ S(공백 반응): 흰 공간 부분이 반응에 사용된 경우

 

  1. 로샤 검사(Rorschach Test)는 검사 채점을 위해 수검자가 잉크 반점의 어느 부분에 대해 반응했는지 반응영역(Location)을 기호화한다. 다음 보기의 빈칸에 들어갈 각각의 반응영역을 기호로 표시하시오.(*)

( A ) – 잉크 반점 전체가 반응에 사용된 경우

( B ) – 흔히 이용되는 잉크 반점 영역이 반응에 사용된 경우

( C ) – 드물게 이용되는 잉크 반점 영역이 반응에 사용된 경우

( D ) – 흰 공간 부분이 반응에 사용된 경우

( A ) – W

( B ) – D

( C ) – Dd

( D ) – S

 

  1. 바이너(Weiner)는 심리검사를 객관적 검사와 투사적 검사로 구분하고 로샤 검사(Rorschach Test)를 투사적 검사로 분류하는 것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였다. 그 이유를 2가지 기술하시오(*)

① ‘주관적 검사’라는 오해 또는 오명

→ 로샤 검사를 단순히 ‘투사적 검사’로 분류하면, 검사 결과가 객관적이지 않고 주관적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음.

바이너(Weiner)는 로샤가 체계적이고 신뢰도 높은 채점 방식(예: 엑스너 종합체계)을 갖추고 있으므로 과학적 심리검사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주장함.

② 모든 반응이 투사적이지 않음

→ 로샤 검사에는 단순한 형태 지각이나 일반적인 인지 반응 등, 비투사적인 반응도 포함되어 있음.

따라서 모든 반응을 투사로 해석하는 것은 과도한 일반화이며, 반응의 특성에 따라 투사성과 인지적 특성을 구분해서 해석해야 한다고 보았음.

 

  1. MMPI 2개 척도에 대한 분석에서 4-9/9-4 척도의 임상 양상을 5가지 기술하시오. (****)

→ 다음은 4번(반사회성)과 9번(경조증) 척도가 동시에 상승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임상 양상입니다.

①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② 규범이나 사회적 규칙을 무시하는 반사회적 태도가 나타납니다.

③ 자극을 추구하며 책임감이 부족한 행동 경향을 가집니다.

④ 좌절 인내력이 낮아 쉽게 흥분하거나 포기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⑤ 자기중심적이고 타인의 감정을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강합니다.

⑥ 높은 에너지 수준과 과도한 활동성이 나타나 산만할 수 있습니다.

⑦ 정서적 기복이 심하고 감정 조절이 어렵습니다.

 

  1. MMPI-2 2개 척도에 대한 분석에서 6-8/8-6 유형의 일반적인 특징 5가지와 가능성 있는 장애 진단명 2가지를 쓰시오.(*)

→ 다음은 6번(편집증)과 8번(조현증) 척도가 동시에 상승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임상 양상입니다.

① 강한 피해의식과 경계심

② 비현실적 사고와 망상 가능성

③ 대인관계의 왜곡 및 불신

④ 사고의 경직성과 방어적 태도

⑤ 감정 조절의 어려움 및 불안정성

⟶ 가능성 있는 진단명: 망상장애, 편집형 조현병

 

  1. MMPI의 상승척도쌍 1-3/3-1 유형에서 ‘3’이 더 높은 경우의 임상적 양상을 4가지 쓰시오.(*)

→ 다음은 1번(건강염려증)과 3번(히스테리) 척도 중 3번(히스테리)가 더 높은 경우의 임상적 양상입니다.

➀ 정서 표현의 억제 및 회피 경향

➁ 신체 증상을 통해 갈등이나 스트레스를 표현하려는 경향 (신체화)

➂ 대인관계에서 외형적으로는 원만하고 밝아 보이나, 내면의 갈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부인함

➃ 자신의 심리적 어려움을 타인이나 상황 탓으로 돌리는 방어적 성향

 

  1. MMPI 검사 결과 타당도 척도에 대한 T점수가 L척도 46, F척도 110, K척도 45로 나타났으며, 5번 Mf 척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임상척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프로파일을 나타낼 수 있는 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유형을 3가지 쓰시오.(*)

① 관심과 도움을 받기 위한 증상 과장 경향

② 검사 상황 또는 검사자에 대한 저항을 표현하는 경우

③ 2차적 이득(예: 병역 회피, 소송 등)을 위한 고의적 문제 가장 가능성

 

  1. MMPI 프로파일 해석과 관련하여 긍정왜곡(Faking-good)과 부정왜곡(Faking-bad)의 의미와 척도 양상을 설명하시오.(*)

1) 긍정왜곡 (Faking-good): 자신을 실제보다 긍정적으로 보이려는 경향.

⟶ L, K 척도 상승 / F 척도 낮음

2) 부정왜곡 (Faking-bad): 문제를 과장하거나 부정적으로 보이려는 경향.

⟶ F 척도 상승 / L, K 척도 낮음

 

  1. MMPI-2에서 과장된 보고를 탐지하는 척도를 3가지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① F (Frequency): 일반인들이 잘 응답하지 않는 항목에 긍정 응답 시 → 비전형적, 과장 가능성

② Fb (Back F): 검사 후반부 과장된 반응 확인 → 응답의 일관성 확인 목적

③ Fp (Infrequency-Psychopathology): 정신병 환자도 잘 응답하지 않는 항목에 응답 시 → 고의적 과장 판단 가능

 

  1. MMPI 검사 결과 L척도와 K척도는 30 이하이고 F척도는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유추할 수 있는 환자의 상태를 2가지 기술하시오.(*)

① 고의적 문제 과장 또는 부정왜곡 가능성

② 실제 심리적 고통 상태이거나 위기 상황에 처해 있을 가능성

 

  1. MMPI의 6번 척도(Pa)에서 T점수가 72점인 경우 임상적으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5가지를 쓰시오.(*)

① 강한 의심과 경계심

② 피해망상적 사고 경향

③ 대인관계에서의 적대감 및 불신

④ 사고의 경직성과 과민반응

⑤ 타인의 의도를 왜곡하거나 악의적으로 해석할 가능성

 

  1. MMPI-2에서 재구성 임상척도를 개발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시오.(*)

① 기존 임상척도의 구조적 중복성과 해석의 모호성 보완

② 임상척도 간 상관성 감소로 해석 명확성 증가

③ 내적 타당성과 일관성 향상

④ 임상적 판단에 도움이 되는 핵심 구성요소 중심으로 구성

 

  1. MMPI-2의 재구성 임상척도 중 다른 사람들이 믿을만하지 못하고 남을 배려하지 않고 자신만 생각하며 착취적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상승하는 척도를 쓰시오.(*)

🔹 해당되는 재구성 임상척도

➤ RC3 (Cynicism, 냉소성 척도) 입니다.

🔹 RC3 (냉소성 척도)의 의미

➀ 타인을 신뢰하지 않고, 사람들은 이기적이며 자기 이익만을 위해 행동한다고 여김

➁ 타인에 대한 부정적 기대와 적대적 해석 경향

➂ 착취당할 수 있다는 불안으로 인해 관계에서 방어적이고 거리감이 있음

 

  1. 어떤 환자에게 MMPI를 실시한 결과 L척도와 K척도의 T점수가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방어적 성향이 강하여 검사 결과를 해석하기 어려울 정도였으나, 이 환자에게 심리검사는 꼭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때 임상심리사가 취할 수 있는 방법을 2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① 보충적 검사 도입

투사검사(로샤, TAT 등)나 면담을 추가 실시하여 내담자의 무의식적 갈등이나 심리적 특성을 간접적으로 탐색할 수 있음.

② 검사태도에 대한 해석 포함 및 방어성 고려

방어적 반응 경향(L, K 상승)을 명시하고, 이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결과 왜곡 가능성을 고려한 보수적 해석을 수행함.

반응 경향 자체를 성격 특성(자기 이상화, 인정 욕구 등)으로 해석할 수 있음.

 

  1. MMPI 검사 결과 타당도 척도에 대한 T점수가 L척도 46, F척도 110, K척도 45로 나타났으며, 5번 Mf 척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임상척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프로파일을 나타낼 수 있는 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유형을 3가지 쓰시오.(*)

① 관심과 동정을 얻기 위한 증상 과장 유형

② 검사 상황에 대한 저항이나 불신 표현 유형

③ 이차적 이득(예: 병역 기피, 보험금 청구 등)을 위한 고의적 문제 가장 유형

 

  1. MMPI-2의 성격병리 5요인 척도(PSY-5 척도)를 쓰시오.(*)

① AGGR – 공격성 (Aggressiveness)

② PSYC – 정신병적 성향 (Psychoticism)

③ DISC – 충동성/통제 결여 (Disconstraint)

④ NEGE – 부정정서성 (Negative Emotionality / Neuroticism)

⑤ INTR – 내향성/낮은 긍정정서성 (Introversion / Low Positive Emotionality)

 

  1. MMPI 척도 6 Pa(Paranoia, 편집증)의 임상 소척도 3가지를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① Pa1 – 억울감 (Persecutory Ideas)

: 타인에 의해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는 생각이 강함. 피해망상적 사고 경향.

② Pa2 – 과대감 (Poignancy / Grandiosity)

: 자신을 특별한 존재로 여기며 자존감이 과도하게 높음.

③ Pa3 – 의심성 (Resentment / Suspiciousness)

: 타인의 의도에 대해 지나치게 의심하고, 쉽게 신뢰하지 못하는 태도.

 

  1. MMPI 나 BDI와 같은 객관적 자기보고형 검사의 장점과 단점을 각각 2가지씩 쓰시오(**)

1) 장점

① 표준화된 채점 방식으로 객관성과 신뢰도 확보

② 짧은 시간 안에 다양한 심리 특성을 효율적으로 파악 가능

③ 반복 실시가 가능하여 변화 추적에 유리함

④ 경제적이고 접근성이 높음

⑤ 규준에 근거한 비교와 해석이 가능함

2) 단점

① 반응 왜곡(과장, 축소, 사회적 바람직성) 가능성

② 자기인식 능력에 따라 응답의 정확성에 한계

③ 언어 표현 능력 부족 시 검사 이해와 응답에 어려움

④ 문화적·상황적 맥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함

⑤ 무의식적 갈등이나 깊은 정서 탐색에는 한계 있음

 

  1. MMPI-2에서 ?척도의 상승을 야기할 수 있는 이유를 5가지 쓰시오(*)

① 문항을 놓치거나 실수로 건너뛰었을 때

② 집중력 부족 또는 산만한 검사 태도

③ 낮은 읽기 능력이나 지적 능력 부족

④ 일부 문항이 불쾌하거나 민감해 응답을 거부한 경우

⑤ 고의적 비협조나 저항, 회피 반응

 

  1. 다음 보기의 MMPI-2 상승척도쌍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A. 1-2-3 / B. 3-4 / C. 7-8-9 / D. 2-7-3

→ 가장 응급한 사례로 다루어야 하는 것: C. 7-8-9 Code Type

이유:

① 심한 불안, 망상, 충동적 행동이 함께 나타날 수 있음

② 현실검증력 저하와 자살 위험성 존재 가능

③ 사고와 정서의 혼란이 복합적으로 동반됨

 

  1. 다음은 MMPI-2의 임상척도 중 특정 척도가 높은 점수를 보일 때 나타나는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아래의 빈칸에 들어갈 임상척도를 쓰시오.(*)

(ㄱ) 피해망상, 과대항상, 관계사고 등 정신증적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자신이 음모에 휘말렸거나 남들로부터 부당한 대우, 모함, 괴롭힘 당한다고 느낀다.

→ 6번 척도 : Pa (Paranoia, 편집증)

(ㄴ) 기분이 고양되어 있고 자신감에 넘치다가도 금방 초조해지고 동요되며 낙담하는 등 감정 기복을 보인다. 주기적으로 우울 삽화를 보일 수도 있다.

→ 9번 척도 : Ma (Hypomania, 경조증)

 

  1. 사회성숙도 검사(Social Maturity Scale)에서 아동의 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영역 6가지를 쓰시오. (**)

➀ 자조 일반 영역(Self-help General)

➁ 자조 – 식사 영역(Self-help Eating)

➂ 자조 – 입기 영역(Self-help Dressing)

➃ 자조 – 이동 영역(Self-help Locomotion)

➃ 사회성 영역(Sociality)

➄ 자기관리 영역(Self-direction)

➅ 직업 기능 영역(Occupation)

 

  1. 프로차스카(James O. Prochaska) 등의 변화단계모델은 개인의 행동이 5단계를 거쳐 변화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프로차스카 등의 행동변화 5단계를 쓰고, 각 단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

➀ 무관심 단계(Precontemplation) : 아직 문제 행동을 인식하지 못하며, 변화할 의사가 없음. 타인의 조언에도 저항하거나 무관심한 태도를 보임.

➁ 숙고 단계(Contemplation) : 문제 행동의 존재는 인식하고 있으나, 당장 변화할 계획은 없음. 변화의 필요성을 고민하며 양가감정을 경험함.

➂ 준비 단계(Preparation) : 변화를 결심하고, 행동에 옮길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는 단계. 가까운 시일 내에 행동을 바꿀 의지가 있음.

➃ 실행 단계(Action) : 실제로 행동 변화를 시작한 단계로, 새로운 행동을 실천에 옮기며 옛 습관을 적극적으로 대체함.

➄ 유지 단계(Maintenance) : 행동 변화를 일정 기간 이상 유지하며, 재발을 방지하려는 노력이 지속되는 단계.

➅ 종결 단계(Termination) : 변화된 행동이 완전히 정착되어 더 이상 과거 행동으로 돌아갈 유혹이나 위험이 거의 없는 상태.

 

  1. 건강심리학의 발달배경을 3가지 쓰시오 (*)

➀ 만성질환의 증가 : 과거와 달리 감염성 질환보다 만성질환(예: 고혈압, 당뇨, 암 등)이 주요 사망 원인이 되면서, 질병의 원인과 관리에 대한 심리적 접근이 필요해짐.

➁ 생의학적 모델의 한계 : 질병을 오직 생물학적 요인으로만 설명하려는 전통적 모델로는 스트레스, 행동, 생활습관 등의 심리·사회적 요인을 설명하기 어려움.

➂ 건강행동의 중요성 인식: 운동, 금연, 식습관 등 개인의 행동이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강조됨

④ 심리학의 응용 영역 확대 : 임상심리, 사회심리, 인지심리 등 다양한 심리학 분야가 건강과 관련된 문제에 적용되면서 건강심리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로 발전함.

 

  1. 정신분석적 치료에서는 이상적인 목표에 도달하게 될 때 치료를 종결하게 된다. 정신분석적 치료의 이상적인 치료 목표를 설명하시오 (*)

① 무의식적 갈등의 의식화 및 통찰

② 자아 강화 및 성숙한 방어기제 형성

③ 자유로운 감정 표현과 대인관계 개선

④ 자기 통합과 자율성 회복

 

  1. 실존치료에서는 정상적 불안과 신경증적 불안을 구분하고 있다. 그중 정상적 불안의 특징을 3가지 쓰시오. (**)

🟦 정상적 불안 (Normal Anxiety)

① 삶의 불확실성이나 죽음 등 피할 수 없는 실존적 조건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함

② 현실에 기반한 불안으로, 회피하지 않고 수용할 수 있음

③ 개인의 성장과 자아 확장을 자극하는 기능을 함

④ 인격 발달에 있어 통합 가능한 경험으로 작용함

⑤ 현실에 적절하게 반응하며, 비례적이고 일시적임

🟥 신경증적 불안 (Neurotic Anxiety)

① 현실에 비추어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방식으로 나타남

② 억압된 갈등이나 과거의 경험에서 기인함

③ 행동, 사고, 감정을 제한하며, 개인의 성장을 방해함

④ 자각 없이 자동적으로 반응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음

⑤ 왜곡된 인식에 기반해 불합리하게 지속되며, 고통을 유발함

 

  1. 상담 과정에서 나타나는 저항의 의미를 쓰고, 내담자의 저항에 대응하는 방법을 기술하시오(*)

1) 저항의 의미: 내담자가 상담 중 변화나 직면을 회피하려는 무의식적 또는 의식적인 반응

2) 저항에 대한 대응 방법

① 저항을 수용적으로 이해하기

② 저항의 원인을 함께 탐색하기

③ 저항을 통찰의 기회로 활용하기

④ 상담자와의 관계 속에서 저항 다루기

 

  1. 심리평가에 대한 전통적 모델과 치료적 모델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단, 각 모델의 평가 목표 및 평가자의 역할에 대해서만 기술할 것)

① 전통적 모델

평가 목표: 진단과 문제 확인

평가자의 역할: 객관적 자료 수집자 및 해석자

② 치료적 모델

평가 목표: 내담자의 자기이해와 변화 촉진

평가자의 역할: 내담자와의 협력적 해석자 및 변화 촉진자

 

  1. DSM-5 진단 기준에 따른 특정공포증의 하위유형을 3가지만 쓰고, 각각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시오 (**)

① 동물형 (Animal Type)

개, 뱀, 곤충 등 특정 동물에 대한 극심한 공포

② 자연환경형 (Natural Environment Type)

높은 곳, 폭풍, 어둠, 물 등 자연현상에 대한 공포

③ 혈액-주사-손상형 (Blood-Injection-Injury Type)

피, 주사, 수술, 상처 등에 대한 공포

실신 반응이 동반되기도 함

④ 상황형 (Situational Type)

엘리베이터, 비행기, 폐쇄 공간, 운전 등 특정 상황에 대한 공포

⑤ 기타형 (Other Type)

질식, 구토, 특정 소리 등 위 유형에 포함되지 않는 기타 자극에 대한 공포

 

  1. 반복적으로 또래 친구들을 괴롭히며 교사에게 반항하는 아동의 문제를 호소하는 초등학교 3학년 담임 선생님에게 자문을 하고자 한다. 해당 아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조언을 4가지 쓰시오. (*)

① 일관된 규칙과 결과 제시

예측 가능한 규칙과 그에 따른 결과를 명확히 전달하여 아동이 구조화된 환경 속에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② 긍정적 행동에 대한 즉각적 강화 제공

아동이 바람직한 행동을 보였을 때 즉각적으로 칭찬, 보상 등을 통해 긍정적 행동을 강화한다.

③ 감정 표현 및 자기조절 기술 지도

분노, 좌절 등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방법과 감정을 조절하는 기술(예: 호흡 조절, 타임아웃 등)을 훈련시킨다.

④ 교사-아동 간 긍정적 관계 형성

아동과의 신뢰 관계를 형성하여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문제 행동의 빈도를 줄이는 데 기여한다.

⑤ 또래 관계 기술 지도 및 사회적 기술 훈련 제공

또래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사회적 기술(예: 양보, 협력, 요청하기 등)을 직접 지도한다.

 

  1. 내담자(환자)와 라포(Rapport) 형성이 필요한 이유와 구체적인 방법을 4가지 기술하시오.(**)

1) 라포 형성이 필요한 이유

라포 형성은 신뢰와 협력을 이끌어내고, 내담자가 진솔하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우며, 결과적으로 정보 수집의 질과 평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필수적이다.

2) 라포 형성의 방법

① 편안한 검사 환경 조성

조용하고 안정된 분위기를 조성하여 내담자가 긴장하지 않고 검사에 임할 수 있도록 한다.

② 친근한 인사와 자기소개

검사 시작 전 검사자 자신을 소개하고, 내담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가 낯선 상황에 대한 부담을 덜어준다.

③ 검사 목적에 대한 간단한 설명 제공

검사가 평가나 심판이 아님을 설명하고, 가능한 한 내담자가 편안한 마음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④ 적절한 칭찬과 격려 사용

검사 중 내담자가 보이는 노력에 대해 격려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검사에 대한 자신감을 높인다.

⑤ 내담자의 말에 경청하고 반응하기

내담자의 질문이나 반응에 진심으로 귀 기울이며 공감적인 태도로 반응함으로써 신뢰를 형성한다.

⑥ 과도한 긴장이나 불안에 대한 정서적 지지 제공

내담자가 긴장할 경우, “천천히 해도 괜찮아요” 등 정서적으로 안심시킬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한다.

⑦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유연한 태도 유지

연령, 성격, 인지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검사 방식이나 언어를 유연하게 조절한다.

 

78. 카우프만(Kaufman)과 리히텐베르거(Lichtenberger)가 제시한 지능검사의 기본 철학을 5가지 쓰시오. (**)

① 지능은 단일 개념이 아니라 다양한 능력의 통합체

② 지능은 변화 가능한 능력

③ 검사는 진단이 아닌 이해를 위한 수단

④ 검사는 개인의 잠재력 파악을 위한 도구

⑤ 검사 결과는 맥락 속에서 해석되어야 함

 

  1. K-WISC-Ⅳ의 4가지 지표점수를 쓰고, 각 지표별 소검사를 1개씩 쓰시오. (***)

① 언어이해 지표 (VCI: Verbal Comprehension Index) : 공통성(공통점 찾기), 어휘(낱말 뜻 말하기), 이해(사회적 판단)

② 지각추론 지표 (PRI: Perceptual Reasoning Index) : 토막짜기, 행렬추리, 그림개념

③ 작업기억 지표 (WMI: Working Memory Index) : 숫자, 순차연결, 산수

④ 처리속도 지표 (PSI: Processing Speed Index) : 기호쓰기, 빠진 곳 찾기, 동형찾기 (보충 소검사)

 

80. WAIS-Ⅳ의 척도별 구성 중 언어이해(VCI)와 지각추론(PRI)에 포함되는 핵심 소검사 항목을 각각 2개씩 쓰시오.(*)

① 언어이해 지표 (VCI: Verbal Comprehension Index) : 어휘, 공통성

② 지각추론 지표 (PRI: Perceptual Reasoning Index) : 토막짜기, 행렬추리

③ 작업기억 지표 (WMI: Working Memory Index) : 숫자, 산수

④ 처리속도 지표 (PSI: Processing Speed Index) : 기호쓰기, 빠진 기호 찾기

 

81 성인용 웩슬러 지능검사(WAIS)의 양적 분석에 포함되는 내용을 5가지 쓰시오.(*)

① 전체 IQ

② 각 지표 점수(VCI, PRI, WMI, PSI)

③ 소검사 간 점수 차이

④ 소검사 간 강점과 약점

⑤ 보충 소검사 결과 분석

 

82 성인용 웩슬러 지능검사(WAIS)의 소검사가 측정하는 항목 5가지와 그 내용을 쓰시오. (**)

1) 언어이해 지표 (VCI: Verbal Comprehension Index)

① 공통성 – 개념적 사고 능력  : 두 단어의 공통점을 찾아 설명함으로써 추론과 개념 형성 능력을 평가

② 어휘 – 언어적 표현력  : 단어의 의미를 정의하여 언어 지식, 표현력, 언어 이해력 평가

③ 이해 – 사회적 판단력  : 일상적인 상황에서의 행동 이유나 규칙에 대해 설명하며 사회적 판단과 상식 평가

2) 지각추론 지표 (PRI: Perceptual Reasoning Index)

① 토막짜기 – 시공간 구성 능력  : 도형을 제시된 모양대로 토막을 맞추는 과제로 시각-운동 협응력과 분석력 측정

② 행렬추리 – 추리적 사고 능력  : 도형 간의 관계를 유추하여 비언어적 논리와 추론 능력 평가

③ 시각 퍼즐 – 시각적 분석 및 통합 능력  : 전체 도형을 구성하는 부분을 찾는 과제로 전체-부분 통합 능력 측정

3) 작업기억 지표 (WMI: Working Memory Index)

① 숫자 – 작업기억 및 집중력  : 숫자를 순서대로 듣고 반복 또는 거꾸로 말하게 하여 청각적 작업기억 및 집중력 평가

② 산수 – 정신적 연산 능력  : 간단한 계산 문제를 암산으로 해결하여 주의 집중과 숫자 정보 처리 능력 측정

③ 순서화 – 청각적 작업기억 및 처리 조직 능력  : 숫자, 글자, 크기를 정해진 순서로 배열하며 기억의 조직화 능력 평가

4) 처리속도 지표 (PSI: Processing Speed Index)

① 기호쓰기 – 시각-운동 처리 속도  : 기호를 빠르게 따라 그리는 과제로 시각-운동 협응과 처리 속도 측정

② 빠진 기호 찾기 – 시각적 주의와 분별력  : 표적 기호와 일치하는 항목을 찾아내는 과제로 시각 탐색 능력과 처리 속도 평가

③ 취사선택 – 선택적 주의 및 시각 처리  : 주어진 조건에 맞는 항목을 빠르게 골라내며 시각적 주의력과 정확성 측정

 

83 성인용 웩슬러 지능검사(WAIS-Ⅳ)에서 상식(Information) 소검사가 측정하는 측면 5가지를 쓰시오.(*)

① 일반 지식

② 언어 표현력

③ 문화적 경험

④ 장기기억 능력

⑤ 학습된 정보의 보존 정도

 

84 WAIS-Ⅳ에서 연속적인 수준의 해석방법 5단계를 쓰시오.(*)

① 전체 IQ 해석

② 지표 점수 비교

③ 소검사 점수 비교

④ 강점과 약점 확인

⑤ 임상적 맥락과 통합 해석

 

  1. 웩슬러 지능검사(K-WAIS)의 소검사 항목 11가지를 제시하고, 각 소검사의 측정 내용을 기술하시오.(*)

1) 언어성 검사

① 상식: 일반적인 지식과 사실에 대한 이해 수준을 평가함.

② 숫자 외우기: 주어진 숫자를 순서대로 또는 거꾸로 따라 말하게 하여 작업기억과 주의 집중력을 평가함.

③ 어휘: 단어의 뜻을 설명하게 하여 언어적 이해력, 표현력, 어휘력을 측정함.

④ 산수: 간단한 계산 문제를 암산으로 해결하게 하여 정신적 연산 능력과 집중력을 평가함.

⑤ 이해: 일상적인 상황에 대한 판단과 행동의 이유를 설명하게 하여 사회적 판단력과 상식을 측정함.

⑥ 공통성: 두 개념의 공통점을 설명하게 하여 추상적 사고와 개념 형성 능력을 평가함.

2) 동작성 검사

⑦ 토막짜기: 색깔이 칠해진 토막을 활용해 도형을 재구성함으로써 시공간 구성 능력과 시각-운동 협응을 평가함.

⑧ 차례 맞추기: 그림을 논리적인 순서로 배열하여 사건 이해 및 사회적 예측 능력을 측정함.

⑨ 빠진 곳 찾기: 그림에서 빠진 부분을 찾아내어 시각적 주의력과 세부 인식 능력을 평가함.

⑩ 빠진 기호 찾기: 정해진 기호를 빠르게 따라 쓰게 하여 시각-운동 속도와 주의력을 평가함.

⑪ 바꿔쓰기: 분리된 조각을 모아 전체 그림을 완성하게 하여 시각적 분석력과 전체-부분 통합 능력을 평가함.

 

86 웩슬러(Wechsler)가 정의한 지능의 개념을 쓰고,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의 특징을 각각 2가지씩 기술하시오.(*)

1) 웩슬러(Wechsler)가 정의한 지능의 개념

“지능은 목적 있는 행동을 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개인의 종합적이고 전반적인 능력이다.”

🔹 유동성 지능(Fluid Intelligence)의 특징

➀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➁ 추론, 문제 해결, 기억력, 정보 처리 속도와 관련

➂ 청소년기까지 발달하고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

🔹 결정성 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의 특징

➀ 학교 교육이나 문화적 경험을 통해 축적된 지식

➁ 언어 이해, 어휘력, 사회적 판단력과 관련

➂ 나이가 들어도 비교적 안정적이거나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

 

  1.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병전지능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소검사를 3가지 쓰고 이를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① 어휘, 정보, 공통성

→ 비교적 손상에 강하고 지식 기반이므로 병전지능 추정에 적절

 

  1. 지능검사를 시행한 후 병전지능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3가지 쓰시오.

① 상대적으로 보존되는 소검사(예: 어휘)의 점수 활용

– 뇌 손상이나 인지 저하에도 영향을 덜 받는 어휘, 정보 등의 소검사 점수를 통해 병전지능을 간접적으로 추정함.

② 병전지능 추정용 검사 도구 사용

– KART(한국 성인 읽기 검사), WTAR(Wechsler Test of Adult Reading) 등

읽기 능력 기반의 병전지능 추정 도구를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원래 지능 수준을 예측함.

③ 생활사 정보 활용

– 개인의 학력, 직업, 사회적 기능 수준, 발달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질병 이전의 지능 수준을 임상적으로 추정함.

 

  1. 임상장면에서는 환자의 신경심리평가를 위해 종합심리검사인 풀배터리(Full Battery)를 실시한다. 이러한 배터리에는 보통 지능검사가 포함되는데 풀배터리에 지능검사를 넣는 이유를 5가지 쓰시오.(*)

① 전반적인 인지 기능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 언어, 추론, 기억, 처리 속도 등 기본 인지능력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음.

② 기타 심리검사의 해석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 성격검사나 투사검사 해석 시, 지적 수준에 맞는 반응 여부를 평가하는 기준이 됨.

③ 신경심리적 손상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 인지적 기능 저하나 병전 지능과의 비교를 통해 뇌손상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음.

④ 지능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중재 계획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 학습, 치료, 재활 등 개입 방향 설정에 실질적인 기초 자료가 됨.

⑤ 교육, 직업 기능 수준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 내담자의 적응 수준, 직업 능력, 사회 기능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줌.

 

  1. 흔히 일반 종합심리검사(Full Battery)에서 사용하는 검사 중 신경심리검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검사를 2가지 쓰시오.(*)

① 웩슬러 지능검사(WAIS, K-WAIS)

② 벤더게슈탈트 검사 또는 도형 복사 검사(Copying tests)

 

  1. 다음 보기는 웩슬러 지능검사의 대략적인 검사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이는 환자의 유형을 쓰시오.(*)
상식(Information), 어휘(Vocabulary), 토막짜기(Block Design) 점수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반면, 공통성, 모양 맞추기, 점수는 낮은 수준을 보인다.

언어성 지능(VIQ)이 동작성 지능(PIO)보다 높은 양상을 보인다.

정답 : 뇌손상장애

① 좌측 뇌 손상 환자에 비해 우측 뇌 손상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유형

② 비언어적 처리(시공간 구성, 시각추론 등)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

③ 학습장애 중 비언어성 학습장애(nonverbal learning disability, NVLD)

④ 언어 능력은 유지되어 있으나 시지각적·운동 조작 능력에 약점을 가진 경우

➡ 따라서, 우측 반구 기능 저하 또는 비언어성 학습장애 유형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1. 다음은 50대 여성 내담자의 웩슬러 지능검사(K-WAIS) 결과이다. 이를 토대로 다음의 물음에

답하시오(*)

하위검사명 평가치 하위검사명 평가치
기본지식 8 빠진 곳 찾기 5
숫자 외우기 6 차례 맞추기 6
어휘 문제 10 토막 짜기 5
산수 문제 7 모양 맞추기 6
이해 문제 8 바꿔쓰기 5
공통성 문제 9

1) 정신과적 진단의 종류 2가지와 함께 감별진단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사항4가지를 기술하시오.

(1) 정신과적 진단의 종류

주요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전반적인 인지 수행 저하와 느린 처리속도가 우울로 인한 기능 저하를 시사한다.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주의집중 및 작업기억 저하가 만성적인 불안과 과도한 걱정으로 인한 인지 간섭을 반영한다.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언어 기능은 상대적으로 보존되나, 시공간 및 처리속도 저하는 초기 인지 저하 가능성을 나타낸다.

(2) 감별진단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① 정서 상태 평가: 우울·불안 등 정서적 요인의 영향을 확인한다.

② 병전지능 추정: 어휘, 공통성 등 보존된 점수로 기저 지능을 예측한다.

③ 일상생활 기능 평가: 실제 생활에서의 적응 능력을 확인한다.

④ 의학적·신경학적 상태 확인: 내과적, 신경계 질환 가능성을 배제한다.

⑤ 연령 및 교육 수준 고려: 연령대와 배경에 따른 인지 특성을 반영한다.

⑥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관찰: 인지 기능 변화 양상을 추적한다.

⑦ 기타 심리검사 병행: MMPI, 신경심리검사 등으로 다각적 평가를 수행한다.

2) 내담자가 신경학적 검사상 특별한 소견이 없이 최근 남편의 외도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가정할 때, 내담자의 숫자 외우기 및 산수 문제 점수의 상대적 저하와 함께 동작성 지능의 전반적 저하를 설명하시오.

내담자는 배우자의 외도로 인한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주의 집중력과 작업기억 저하, 동작성 과제 수행 능력 감소를 보이고 있다. 이는 우울 및 불안 상태에서 흔히 나타나는 인지 저하 양상으로, 신경학적 손상보다는 심리적 충격에 따른 일시적 변화로 해석되며, 정서 안정이 회복되면 인지 기능도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

 

  1. 주제통각검사(TAT)의 개념을 쓰고, 대인관계법의 해석 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

① 주제통각검사(TAT)의 개념: 모호한 그림을 제시하여 개인이 그 장면에 대해 이야기를 구성하게 함으로써 무의식적 욕구, 갈등, 대인관계 양상 등을 탐색하는 투사적 성격의 심리검사

② 대인관계법의 해석 방식:

등장인물 간의 관계 유형, 역할, 상호작용 방식을 분석

주인공이 누구인지, 타인과의 갈등이나 지지 여부, 정서적 반응 등을 중심으로 내담자의 대인관계 패턴 및 정서적 욕구를 해석

 

  1. 상담에서는 상담자의 비언어적 태도로서 신체언어가 중요하다. 이건(Egan)은 상담자의 경청하는 자세와 관련하여 ‘SOLER’라는 명칭의 머리글자를 조합해서 만든 용어를 사용하였는데, 이때 ‘SOLER’가 의미하는 바를 각각 쓰시오(*)

① S (Squarely) – 내담자 쪽으로 몸을 정면으로 향하기

② O (Open posture) – 개방적인 자세 유지 (팔짱 끼지 않기 등)

③ L (Lean forward) – 내담자에게 몸을 약간 기울이기

④ E (Eye contact) – 적절한 눈 맞춤 유지하기

⑤ R (Relaxed) – 긴장하지 않고 편안한 태도 보이기

 

  1. 상담자가 내담자에 대한 심리치료 및 상담을 종결할 수 있는 상황을 4가지 쓰시오(***)

① 내담자의 문제가 해결되었거나 목표가 달성된 경우

② 내담자가 치료에 더 이상 동기를 보이지 않는 경우

③ 내담자가 지속적으로 치료에 참여하지 않거나 무단 결석이 잦은 경우

④ 상담자가 윤리적·법적 이유로 치료를 계속할 수 없는 경우

⑤ 내담자의 문제가 다른 전문가의 개입이 필요한 경우 (전문 영역 외)

 

  1. 내담자가 상담을 끝낼 준비가 되었는지를 평가할 때 유용한 영역을 6가지 쓰시오(*)

① 문제 해결 정도

– 초기 상담 목표에 대한 해결 여부와 구체적 변화가 있었는지 확인함.

② 자기 이해의 수준

–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 행동, 사고를 얼마나 깊이 이해하게 되었는지 평가함.

③ 정서적 안정성

– 감정 조절 능력과 위기 상황에서의 대처 능력이 향상되었는지 살펴봄.

④ 대인관계의 변화

– 가족, 친구, 동료 등과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는지 평가함.

⑤ 상담에 대한 의존 정도

–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인 사고와 행동이 가능한지 확인함.

⑥ 상담 종결에 대한 수용 태도

– 상담 종결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종결 후의 계획에 대한 의지가 있는지 살펴봄.

 

  1. 상담 종결 시 다루어야 할 것을 5가지 쓰시오 (**)

① 상담 목표의 성취도 점검

② 내담자의 변화 및 성장 확인

③ 종결에 대한 감정 표현과 수용

④ 향후 계획 및 대처 전략 논의

⑤ 재개 상담이나 다른 지원 자원 안내

 

  1. 상담의 종결 단계에서는 우선적으로 지난 상담 내용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진다. 상담자와 내담자가 지난 상담 과정을 되돌아보면서 평가하여야 할 사항을 4가지 쓰시오 (*)

① 내담자의 초기 문제와 현재 상태 비교

② 상담 목표 달성 여부

③ 사용된 기법 및 전략의 효과

④ 상담 관계의 의미와 변화

  1. 자기표현훈련이 필요한 내담자의 특성을 5가지 쓰고, 자기표현훈련을 통해 내담자가 인식해야 할 사항을 2가지 쓰시오. (**)

① 타인의 요구에 항상 순응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

② 대인관계에서 위축되거나 불안한 사람

③ 거절을 잘 못하고 자기주장이 어려운 사람

④ 공격적으로 표현하다가 관계가 악화되는 사람

⑤ 자신의 감정이나 의견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사람

⟶ 내담자가 인식해야 할 사항

①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함

② 자기표현은 타인과의 관계를 해치기보다 오히려 개선할 수 있음

 

  1. 사회기술훈련을 집단으로 시행하는 경우의 장점을 3가지 쓰시오. (*)

① 다양한 상황에서의 역할 연습 가능

② 또래로부터의 피드백과 모델링 효과

③ 사회적 지지와 공감 경험을 통해 대인기술 향상

 

  1.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정신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환자 교육 방법 중 2가지를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

① 질병 교육: 질환에 대한 정보와 증상 이해를 돕기 위한 교육

② 약물 교육: 약물 복용의 중요성과 부작용에 대한 인식 교육

③ 사회기술훈련: 대인관계 및 일상생활 기술을 향상시키는 훈련

④ 스트레스 관리 교육: 긴장 완화와 감정 조절을 위한 대처 전략 훈련

 

  1. 직업재활을 해야 하는 이유 3가지 쓰시오. (**)

① 자존감 회복 및 정체성 강화

– 일의 경험을 통해 자기 효능감을 회복하고, 건강한 자아 정체감을 형성함.

② 사회적 역할 수행 및 독립 생활 가능

– 직업을 통해 사회 속 개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경제적 자립이 가능해짐.

③ 삶의 질 향상 및 재입원 예방

– 일상 구조화, 목적 의식, 소속감을 통해 정신건강 유지와 재발 예방에 기여함.

④ 사회적 관계 확장

– 직장을 통한 대인관계 형성으로 사회성 회복 및 고립감 해소에 도움을 줌.

⑤ 경제적 자립과 책임감 향상

– 소득을 통해 기본적인 생활 유지와 자기 관리 능력을 키우게 됨.

 

  1. 심리평가의 목적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하시오. (**)

① 진단을 위한 평가

– 내담자의 심리적 증상과 상태를 파악하고, DSM 등 진단 기준에 따라 진단을 내리는 데 사용됨.

② 치료 계획 수립 및 개입 방향 설정

–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 목표를 세우고, 효과적인 개입 전략을 수립함.

③ 변화 및 경과 평가

– 치료나 개입 전후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회복의 정도나 경과를 추적함.

④ 예후 및 기능 수준 평가

– 내담자의 회복 가능성, 사회적·직업적 기능 수준, 적응 능력을 예측하고 평가함.

⑤ 자기이해 및 통찰 촉진

– 평가 과정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에 대해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 자기 인식과 통찰을 얻는 데 도움을 줌.

 

  1. 심리검사 도구 선정 시 고려사항을 3가지 쓰시오. (*)

① 검사 목적에 대한 적합성

→ 검사 목적(예: 진단, 선별, 개입 평가 등)에 맞는 도구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②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 여부

→ 검사의 일관성과 정확성, 즉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③ 내담자의 특성에 대한 적합성

→ 연령, 문화, 언어, 인지 수준 등 내담자의 특성에 맞는 도구를 선택해야 합니다.

④ 표준화 여부와 해석 가능성

→ 국내 표준화가 되었는지, 규준(norm)이 존재하는지, 해석이 가능한지를 검토해야 합니다.

⑤ 실시 및 채점의 용이성

→ 검사 시간, 방법, 채점 절차 등이 실제 상담 장면에서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1. 지능을 평가할 때의 주요 쟁점으로 임상적 접근과 개념적 접근에 대해 설명하시오. (**)

① 임상적 접근 : 검사 점수만 보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의 행동, 성장 배경, 병력 같은 실제 삶의 정보들을 함께 고려해서 그 사람에게 맞는 해석을 중요하게 여기는 방식이에요.

예: 같은 IQ 90이라도, 어떤 아이는 학습 환경의 문제일 수 있고, 어떤 아이는 주의력 문제가 함께 있을 수도 있어요.

② 개념적 접근 : 지능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론(예: 언어 능력, 추리력 등)을 바탕으로, 지능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검사 점수를 해석하는 방식이에요.

예: “언어이해 지표가 낮으니 언어 능력 발달이 더 필요하겠다”처럼 요소별로 나누어 분석해요.

 

  1. 틱(Tic) 장애를 평가하는 척도를 2가지 쓰시오. (*)

① 예일 종합 틱 척도 (YGTSS: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

② 투렛 증후군 진단 점검표 (Tourette Syndrome Diagnostic Checklist)

③ 투렛 증후군 임상평정척도 (TS-CGI: Tourette’s Syndrome Clinical Global Impression Scale)

④ 모터 및 음성 틱 평가척도 (MOVES: Motor tic, Obsessions and compulsions, Vocal tic Evaluation Survey)

 

  1. 아동 평가에서 특정 문제영역이 아닌 전반적인 광범위한 문제영역에 대해 보호자의 보고를 토대로 평가할 수 있는 평정척도를 2가지 쓰시오. (**)

① CBCL (Child Behavior Checklist, 아동 행동평가척도)

② BASC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아동행동평가체계)

③ SDQ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강점과 어려움 질문지)

④ CSI (Children’s Symptom Inventory, 아동 증상 목록)

➡ 이 중 대표적으로 CBCL과 BASC가 광범위한 문제영역 전반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척도입니다.

 

  1. 정신분석적 상담 과정에서 나타나는 전이와 역전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

① 전이: 내담자가 과거의 중요 인물에 대한 감정을 상담자에게 투사하는 현상

② 역전이: 상담자가 자신의 무의식적 감정을 내담자에게 반영하거나 반응하는 현상

 

  1.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상담에서는 발달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에 의한 인지발달단계에서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상담의 특성 및 주의점을 발달단계별로 쓰시오. (**)

① 전조작기 (2~7세): 상징적 사고 가능, 구체적 자료 활용 필요, 놀이와 이야기 중심 상담

② 구체적 조작기 (7~11세): 논리적 사고 가능, 실제 경험 중심 상담이 효과적

③ 형식적 조작기 (12세 이상): 추상적 사고 가능, 자아·가치·진로 등 심화된 주제 상담 가능

 

  1. 심리상담의 과정에서 내담자가 침묵을 지키는 이유를 5가지 기술하시오. (**)

① 감정을 다루는 것이 두려워서

② 무언가를 말할지 말지 결정 중이라서

③ 저항의 표현으로서

④ 상담자에 대한 신뢰 부족

⑤ 수치심이나 죄책감 등 부정적 감정 때문

⑥ 적절한 말을 찾지 못해서

⑦ 상담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무의식적 시도

 

  1. 단회상담은 다른 일반적인 심리상담과 달리 극히 제한된 시간 내에 응급 상황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상담에서 강조되는 원리 또는 기술을 5가지만 쓰시오. (**)

① 문제 해결 중심의 개입

→ 상담 초기부터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며, 복잡한 원인 분석보다 해결 방안에 초점을 맞춥니다.

② 내담자의 강점과 자원 탐색

→ 문제보다 내담자의 잠재력, 이전의 성공 경험, 주변 자원을 찾고 활용하도록 돕습니다.

③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목표 설정

→ 상담 시간의 한계상 명확하고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해야 효과적인 개입이 가능합니다.

④ 즉각적인 정서적 지지 제공

→ 위기 상황에 처한 내담자가 안정감과 수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적극적인 공감과 지지를 제공합니다.

⑤ 단기간 내 실현 가능한 행동계획 수립

→ 상담 이후 즉시 적용 가능한 행동지침이나 실천계획을 함께 마련합니다.

⑥ 시간의 제한을 명확히 인식하고 활용

→ 상담자는 제한된 시간 안에서 핵심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고 구조화된 접근을 시도해야 합니다.

⑦ 상담 종결에 대한 준비와 안내

→ 단회상담은 종결이 전제되므로, 상담 마무리 단계에서 내담자가 상담 내용을 잘 정리하고 떠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1. 시간-제한적 집단정신치료의 주요 특징을 3가지 쓰시오. (**)

① 제한된 기간 내에 목표 중심으로 운영됨

② 집단 내 상호작용을 통해 정서적 통찰 촉진

③ 집단의 구조와 리더십이 비교적 명확함

④ 치료적 요인이 빠르게 활성화됨

⑤ 초기부터 종결을 염두에 두고 개입함

 

  1. 무어(Moore)의 가족 갈등 모델에 의한 가족 갈등의 5가지 유형을 쓰시오.(*)

① 내적 갈등 (Intrapersonal conflict)

② 대인 간 갈등 (Interpersonal conflict)

③ 역할 갈등 (Role conflict)

④ 가치 갈등 (Value conflict)

⑤ 구조적 갈등 (Structural conflict)

 

  1. 일반적으로 가족치료를 권하게 되는 경우를 2가지 쓰시오.

① 가족 구성원 간 의사소통에 지속적인 문제가 있을 때

② 가족 중 한 명의 증상이 가족 전체와 관련되어 있을 때

③ 부모-자녀 관계에 갈등이 심할 때

④ 외상적 사건(이혼, 죽음 등) 이후 가족 적응이 어려울 때

⑤ 가족 간의 경계, 규칙 등이 지나치게 경직되거나 유연할 때

 

  1. 가족을 하나의 유기체로 보는 벡바와 벡바(Becvar & Becvar)의 가족치료의 기본 전제를 3가지를 기술하시오. (**)

① 가족은 상호 연결된 체계이다.

② 가족의 한 부분에 변화가 생기면 전체에 영향을 준다.

③ 가족은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④ 가족은 스스로를 조절하며 변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⑤ 문제는 가족 내 관계 패턴에서 발생하며, 개인이 아닌 가족 전체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1. 다음 보기의 내용은 사티어(Satir)의 경험적 가족치료모델의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들어갈 각각의 의사소통 유형을 쓰시오.(*)

( A ) – 다른 사람을 존중하면서도 자신의 진정한 가치나 감정은 무시한다.

( B ) – 오로지 자기 자신만을 생각하며 다른 사람들은 무시한다.

( C ) – 비인간적인 객관성과 논리성의 소유자이며, 자신과 타인을 무시한다.

( D ) – 주변상황과 관계없이 행동하며, 버릇없고 혼란스럽다.

( E ) – 자신 및 타인 상황을 모두 신뢰하고 존중한다.

 

( A ) – 회유형 (Placater)

( B ) – 비난형 (Blamer)

( C ) – 초이성형 (Super-reasonable)

( D ) – 산만형 (Irrelevant)

( E ) – 일치형 (Congruent)

 

  1.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내용이 공통적으로 어떤 가족치료 이론에 관한 것인지를 쓰시오(*)
• 헤일리(Haley)가 제안힌 가족치료모델이다.

• 인간행동의 원인보다는 문제행동의 변화를 위한 해결방법에 초점을 둔다.

• 목표설정에 있어서 가족이 호소하는 문제를 포함하며,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한다.

• 단기치료에 해당하며, 중상처방 등 역설적 방법을 활용한다.

→ 전략적 가족치료 (Strategic Family Therapy)

 

  1. 심리치료 과정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단계는 임상심리학 자문에도 적용된다. 다음 보기에 제시된 자문의 각 단계들을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
  • 중재
  • 질문의 이해
  • 평가
  • 추적조사
  • 종결

① 질문의 이해

② 평가

③ 중재

④ 추적조사

⑤ 종결

 

  1. 임상적 면접의 서면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5가지 쓰시오. (**)

① 기본 인적 사항 (이름, 나이, 성별, 의뢰 정보 등)

② 면접 목적 및 의뢰 이유

③ 현재 문제 및 증상의 기술

④ 병력(정신과적, 의학적, 가족력 등)

⑤ 심리사회적 배경(성격, 가족관계, 발달사 등)

⑥ 면접 중 관찰된 행동 및 정서 상태

⑦ 초기 평가 및 진단적 인상, 향후 계획

 

  1. 임상적 면접은 그 필요성과 상황, 목적에 따라 다르게 구분된다. 다음 보기의 내용과 연관된 임상적 면접의 종류를 쓰시오(*)
환자 개인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과거력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임상심리사는 환자의 과거력을 중심으로 면접을 하게 되며 이때 환자가 당연한 심리적 문제나 병적 증후는 크게 문제 되지 않는다. 그것보다는 환자의 생활 전반에 대한 평가가 중요하므로 환자의 아동기 경험, 부모나 형제와의 관계 학교생활이나 결혼생활 등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 이를 위해 환자의 부모 형제 배우자 혹은 평소 가깝게 지내던 사람들을 면접하기도 한다.

→ 병력 면접(Anamnestic Interview) 또는 사례사 면접(혹은 생활사 면접)

※ 개인의 전반적인 생애사, 성장 과정, 가족 배경, 학업 및 직업, 대인관계 등 과거력 중심의 정보를 얻기 위한 면접

 

  1. 망상을 보이는 편집증적 내담자의 평가를 위한 면담 시 주의사항을 3가지 쓰시오.(*)

① 내담자의 의심이나 방어를 자극하지 않도록 중립적 태도 유지

② 논리로 설득하려 하지 않고 감정을 수용적으로 반영

③ 과도한 시선 접촉이나 신체적 거리 침범은 피함

④ 지나치게 친근한 접근보다는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태도 유지

⑤ 내담자의 사고를 검토할 수 있도록 유도하되, 직접적인 도전은 피함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내담자: 저는 지난밤 너무도 기이한 꿈을 꾸었어요. 벌써 제대한 지 2년이 넘었는데 군대 취사병으로 있을 때로 돌아갔죠. 저는 저녁 메뉴로 돼지를 잡아야 하는 상황이었는데요. 평소 살아있는 동물을 죽이는 것을 무척이나 싫어했음에도 고참의 지시에 따를 수밖에 없었죠. 그런데 그 돼지가 어찌나 힘이 세고 튼튼한 놈인지 칼로 놈의 목을 몇 차례 찔렀지만 마치 저를 비웃듯 계속 몸부림을 치더라고요. 이러다가는 안 되겠다 싶어 온 힘을 주어 그 놈의 목을 힘껏 들어서는 놈의 목 한가운데를 최대한 깊숙이 찔러 넣었죠. 그러자 돼지가 몸부림을 그치고 조용히 고개를 돌렸는데요 그 돼지가 바로 형이었던 거예요. 너무도 황당하고 두려워서 잠에서 태어났는데요 등에서 식은땀이 줄줄 흐르더라고요.

보기의 내담자가 이야기한 꿈의 내용을 듣고 상담자가 제시해야 할 적절한 반응을 반영, 직면, 해석의 상담기법으로 표현하시오.

1) 반영: “당신은 형을 찔렀다는 꿈을 꾸고 많이 당황하고 무서웠던 것 같군요.”

2) 직면: “혹시 평소 형에 대해 복잡한 감정이나 억눌린 감정을 가지고 있었던 건 아닌가요?”

3) 해석: “꿈에서 형을 찔렀다는 장면은, 형과의 관계에서 느꼈던 갈등이나 억압된 감정이 상징적으로 드러난 것으로 볼 수 있겠네요.”

 

  1. 다음 보기는 상담자와 내담자가 나눈 대화의 내용을 담은 축어록의 일부이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메시지에 대해 ‘구체화’ ,’명료화’, ‘공감’의 기술로써 반응하고 있다. 보기의 상담사례에서 밑줄 친 부분에 사용된 상담기술을 ‘구체화’, ‘명료화’, ‘공감’의 3가지 기술로 구분하여 그 기호를 쓰시오.(*)
내담자: 저는 남을 돕는 일을 하고 싶어요. 그런 일에서 느끼는 보람이 제게 큰 의미가 있거든요. 그래서 그런 일을 하는 직업을 가지고 싶어요

상담자: 어떤 일로 사람들을 돕고 싶은가요? ( ㄱ )

내담자: 가정환경이 열악한 아이들을 돕고 싶어요. 아이들이 학교공부를 잘 따라갈 수 있도록,

또 즐겁게 뛰어놀 수 있도록 돕고 싶어요

상담자: 그러니까 아동복지와 관련된 일을 하고 싶으신 거죠군요 ( ㄴ )

내담자: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그런 직업으로는 먹고 살기 힘들다고 말하더라고요.

상담자: 어떤 사람들이요? 혹시 부모님께서도 그렇게 말씀하셨는지 궁금하네요 ( ㄷ )

내담자: 네, 부모님께서도 비슷한 말씀을 하셨어요. 그래서 다른 직업을 선택해야 하나 고민이에요.

상담자: 과연 남을 돕는 의미 있는 작업을 택하느냐, 아니면 보수 등 조건이 좋은 직업을 택하느니 선택의 기로에 선 거로군요 ( ㄹ )

내담자: 이렇게 막상 진로를 선택해야 할 순간에 이르니 그저 막막하기만 하네요.

상담자: 진로선택을 앞둔 상황에서 미래에 대한 고민으로 불안한 마음이 들겠어요 ( ㅁ )

(1) 구체화: ( ), ( )

(2) 명료화: ( ), ( )

(3) 공감: ( )

(1) 구체화:

( ㄱ ) “어떤 일로 사람들을 돕고 싶은가요?”

( ㄷ ) “어떤 사람들이요? 혹시 부모님께서도 그렇게 말씀하셨는지 궁금하네요”

(2) 명료화:

( ㄴ ) “그러니까 아동복지와 관련된 일을 하고 싶으신 거죠군요”

( ㄹ ) “과연 남을 돕는 의미 있는 작업을 택하느냐, 아니면 보수 등 조건이 좋은 직업을 택하느냐 선택의 기로에 선 거로군요”

(3) 공감:

( ㅁ ) “진로선택을 앞둔 상황에서 미래에 대한 고민으로 불안한 마음이 들겠어요”

 

  1. 단기상담에 적합한 내담자의 특성 4가지를 기술하시오(*)

① 문제와 목표가 비교적 명확한 내담자

② 현실 검증 능력이 양호한 내담자

③ 자아기능이 비교적 안정된 내담자

④ 상담에 대한 동기와 의지가 있는 내담자

⑤ 제한된 시간 내 상담 효과를 기대하는 내담자

⑥ 위기 상황에 처해 있어 즉각적인 개입이 필요한 내담자

⑦ 비교적 지지체계가 있는 내담자

 

  1. 내담자를 면접 평가할 때 사용하는 행동평가 방법을 3가지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

① 직접 관찰법: 실제 상황에서 내담자의 행동을 관찰하여 평가

② 자기보고법: 내담자가 자신의 행동이나 감정을 직접 기술하도록 하는 방법

③ 행동 체크리스트: 특정 행동의 유무나 빈도를 목록으로 점검

④ 역할 연기법: 특정 상황을 설정하고 내담자의 반응을 관찰

 

  1. 공포증 환자를 대상으로 체계적 둔감법을 실시하고자 한다. 체계적 둔감법의 3단계 과정을 순서대로 쓰고, 각 단계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시오 (***)

① 이완 훈련

→ 먼저 내담자가 불안을 줄이는 신체적 방법을 익히도록 이완 기술(예: 점진적 근육 이완법, 복식호흡 등)을 훈련합니다.

→ 공포 상황에 노출되기 전에 불안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핵심입니다.

② 불안 위계 목록 작성

→ 공포 자극과 관련된 상황들을 가장 덜 불안한 것부터 가장 심한 것까지 순서대로 나열한 목록을 만듭니다.

→ 예: 거미 공포 → 그림 보기 → 인형 만지기 → 실제 거미 보기.

③ 둔감화(상상 또는 실제 노출)

→ 이완 상태에서 불안 위계에 따라 점진적으로 공포 자극을 상상하거나 실제로 노출시킵니다.

→ 이때 불안이 올라가면 이완 기법을 다시 적용하고, 충분히 적응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1. 소크라테스 대화의 특징을 3가지 제시하고 소크라테스 대화의 구체적인 예를 2가지 쓰시오. (**)

1) 특징

① 내담자가 스스로 진실을 발견하도록 유도

② 개방형 질문 사용

③ 비판적 사고 촉진

④ 일관성 검토 및 논리적 오류 인식 유도

⑤ 치료적 동맹과 협력적 탐색 강조

2) 구체적인 예

① “그 생각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는 무엇인가요?”

② “그 일이 항상 그런 방식으로 일어나나요?”

③ “다르게 해석할 가능성은 없을까요?”

④ “그 생각이 사실이라면 어떤 의미인가요?”

 

  1. 인지치료에서는 내담자의 자동적 사고를 수정하기 위해 소크라테스식 질문법을 사용한다. 소크라테스식 질문법을 사용할 때의 유의사항을 6가지 기술하시오. (**)

① 질문의 목적을 분명히 할 것

② 내담자의 사고 수준에 맞는 질문을 할 것

③ 강요가 아닌 탐색의 형태로 질문할 것

④ 내담자의 방어를 유발하지 않도록 할 것

⑤ 비판하거나 정답을 유도하지 말 것

⑥ 충분한 시간과 공간을 주고 기다릴 것

⑦ 내담자의 자발적 통찰을 격려할 것

 

  1. 다음은 사이버 상담에서 사용하는 기법에 대한 설명이다. 아래의 빈칸에 들어갈 사이버 상담의 기법을 보기에서 찾아 순서대로 쓰시오(*)
• 정서적 표현에 괄호 치기 • 말줄임표 사용 • 즉시성과 현시기법

• 글씨체 사용 • 비유적 언어 사용

(ㄱ) 상담자가 내담자의 글에 대한 자신의 심정과 모습을 생생하게 시각화하여 표현하는 것

(ㄴ) 글 속에 들어오는 정서적 내용을 보여주며, 사실에 대한 대화를 주고받으면서 정서적 표현 전달하는 것

(ㄷ) 침묵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눈으로 글을 읽고 있음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것

(ㄹ) 문제 상황에 대한 의미를 전달하고 심화시키기 위해 은유 등을 사용하는 것

(ㅁ) 강조하고 싶은 경우 큰 글씨를 사용하거나, 내담자가 보내온 것과 같은 글씨 크기를 사용하여 내담자와 내적 세계를 공유하는 것

(ㄱ) → 즉시성과 현시기법

(ㄴ) → 정서적 표현에 괄호 치기

(ㄷ) → 말줄임표 사용

(ㄹ) → 비유적 언어 사용

(ㅁ) → 글씨체 사용

 

  1. 합리적·정서적 치료 상담의 ABCDE 모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하시오(*)

① A (Activating Event) – 선행 사건

→ 내담자에게 감정적 반응을 일으킨 사건이나 상황을 말합니다.

예: 친구가 인사하지 않고 지나감.

② B (Belief) – 신념

→ 그 사건에 대해 내담자가 갖는 자동적인 생각이나 신념입니다.

예: “저 친구는 나를 무시한 거야.” / “나는 늘 무시당해.”

③ C (Consequence) – 결과

→ 비합리적인 신념으로 인해 생긴 감정적·행동적 결과입니다.

예: 분노, 상처, 위축, 대인기피 등.

④ D (Disputation) – 논박

→ 비합리적인 신념을 현실적이고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과정입니다.

예: “그 친구가 나를 못 보고 지나쳤을 수도 있잖아.”

⑤ E (Effect) – 효과

→ 비합리적인 신념을 수정함으로써 생기는 건강한 감정과 행동의 변화입니다.

예: 기분이 가라앉고, 친구에게 오해를 풀 수 있게 됨.

 

  1. 인지·정서·행동적 상담(REBT)의 ABCDE 모델에 기초하여 치료계획을 짜시오(*)

예시: “시험에서 떨어졌다”는 사건에 대해 “난 실패자야”라고 믿고 우울함을 느끼는 내담자

① A: 시험 낙방이라는 선행 사건

② B: “나는 실패자야”, “잘하지 못하면 가치가 없어”라는 비합리적 신념

③ C: 우울감, 자존감 저하, 회피 행동

④ D: “한 번의 실패가 인생 전체를 좌우하진 않아”, “사람은 누구나 실수할 수 있어”라는 논박

⑤ E: 실패를 경험으로 보고 다시 도전하려는 의지, 자기수용 증가

 

  1. 엘리스(Ellis)가 제시한 비합리적인 신념을 5가지 쓰시오(*)

① 나는 반드시 타인의 사랑과 인정을 받아야 한다.

② 나는 항상 유능하고 완벽해야 한다.

③ 나쁜 일은 끔찍하고 견딜 수 없다.

④ 타인의 잘못은 반드시 벌을 받아야 한다.

⑤ 과거의 영향은 내 현재 행동을 결정하며, 나는 그것을 바꿀 수 없다.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김 대리는 업무능력이 뛰어나고 남보다 승진도 빠르다. 그러던 중 어느 날 사소한 실수를 저지르게 되었다. 상사와 동료들이 모두 괜잖다고 하였으나 정작 김 대리 본인만은 자신이 실수를 저질렀다는 사실을 용납하기 어려웠다. 김 대리는 “약간의 실수라도 저지른다면, 나의 회사생활은 끝이다”라고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김 대리는 이와 같은 심리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이직까지 고려하고 있다.

보기에 제시된 김 대리의 사례를 REBT의 ABCDE 치료 모델에 맞추어 설명하시오.

🔷 REBT의 ABCDE 모델 적용

① A (Activating Event, 선행 사건)

김 대리가 사소한 실수를 한 사건

② B (Belief, 신념)

“약간의 실수라도 저지른다면, 나의 회사생활은 끝이다”

→ 완벽주의적, 이분법적, 과장된 비합리적 신념

③ C (Consequence, 결과)

강한 자기비난, 좌절감, 이직 고려 등 부정적 정서 및 행동 반응

④ D (Disputation, 논박)

“실수는 누구나 할 수 있으며, 한 번의 실수가 경력을 결정짓지 않는다”

“과거에도 실수 후 회복한 경험이 있지 않았나?”

→ 신념의 논리성·현실성·유용성을 검토

⑤ E (Effect, 효과)

실수를 학습의 기회로 수용

자기수용과 유연한 사고 증가

이직 충동 감소, 현실적 대처 가능성 향상

 

  1. 병원의 정신과나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환자를 평가하기 위해 면담할 때 일반적으로 유의해서 보아야 하는 사항을 2가지 쓰시오(*)

① 면담 목적과 내용에 대한 충분한 설명

② 면담자의 중립적이고 수용적인 태도

③ 환자의 언어적·비언어적 반응 모두 관찰

④ 비밀보장 및 윤리적 고려

⑤ 환자의 정신상태에 따라 면담 방식 조정

 

  1. 만성 정신질환자를 위한 정신사회재활의 일반적인 목표를 3가지 쓰시오 (*)

① 독립적인 일상생활 능력 향상

② 사회적 대인관계 기술 향상

③ 증상 관리 및 재발 방지 능력 강화

④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 증진

⑤ 지역사회 내에서의 적응과 통합 지원

 

  1. 만성정신질환자의 탈시설화 추세가 나타나게 된 배경을 3가지 기술하시오. (**)

① 항정신병약물의 발달로 증상 조절 가능성 증가

② 지역사회 중심의 치료 서비스 확산

③ 병원 중심 치료의 인권 침해와 비효율성 문제 인식

④ 정신장애인의 자립과 사회참여에 대한 권리 인식 확대

⑤ 장기 입원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부담 증가

 

  1. 관찰학습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4가지 기술하시오 (**)

① 주의집중(Attention)

→ 학습자가 모델의 행동에 관심을 갖고 주의를 집중해야 학습이 시작됩니다.

예: 모델이 매력적이거나, 행동이 뚜렷하고 의미 있을수록 주의가 잘 향함.

② 파지(Retention)

→ 관찰한 행동을 기억하고 저장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예: 머릿속으로 장면을 떠올리거나, 언어로 정리해 기억하는 과정.

③ 재생(Motor Reproduction)

→ 기억한 행동을 실제로 따라 할 수 있는 신체적·인지적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예: 아동이 모델의 말을 따라 하거나 행동을 흉내내기.

④ 동기화(Motivation)

→ 행동을 따라 하려는 내적 동기나 외적 보상(칭찬, 강화 등)이 있을 때 관찰학습이 잘 일어납니다.

예: 모델이 칭찬받는 걸 보고 그 행동을 하고 싶어함.

 

  1. 다음 보기는 질문기법과 그 적용 예를 나열한 것이다. 그중 해결중심 상담에서 사용하는 질문기법과 그 적용 예를 연결한 것으로 읊은 것은 ‘O’. 틀린 것은 ‘X’를 아래의 빈칸에 각각 표시하시오(*)

ㄱ. 상담 전 변화 질문 – 예약 후 오늘 오기까지 혹시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ㄴ. 행동평가 질문 – 당신의 행동은 자신에게 도움이 됩니까?

ㄷ. 예외질문- 어떻게 하면 덜 고통스러웠던 상황이 다시 일어날 수 있을까요?

ㄹ. 대처질문 – 그러한 상황 속에서 어떤 경험을 했나요?

ㅁ. 논박질문 – 최악이라고 상상한 것이 현실이 된다면 정말 파멸일까요?

정답 : ㄱ(O), ㄴ(X), ㄷ(O), ㄹ(X), ㅁ(X)

해설 : ㄴ은 행동의 기능을 따지는 인지행동치료(CBT)적 질문이며,

ㄹ은 단순한 경험 회상으로 대처능력을 탐색하지 않아 해결중심 상담의 대처질문과 다릅니다.

ㅁ은 REBT에서 사용하는 논박 질문으로, 해결중심 상담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40대 남성인 A씨는 오염에 대한 생각으로 반복적인 손 씻기 행동을 보이고 있다. A씨도 그와 같은 생각이 부적절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지만 잘 통제되지 않은 채 반복적으로 의식에 떠올라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1) A씨의 주요 증상을 토대로 진단명을 쓰시오

① 강박장애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2) 적절한 치료기법을 쓰시오

② 노출 및 반응 방지법 (ERP: 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

3) 치료과정을 4단계로 약술하시오

① 불안 위계 작성 –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을 강도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한다.

② 노출 훈련 –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에 점진적으로 노출시킨다.

③ 반응 방지 – 노출 이후 반복적으로 해오던 강박행동(예: 손 씻기)을 하지 않도록 한다.

④ 반복과 강화 – 위 과정을 반복해 불안을 점차 감소시키고 행동 변화를 유지한다.

 

  1. 상담 초기 상담자가 경청하고 배려하고 있다는 것을 내담자가 알 수 있게 하는 방법을 3가지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① 적극적인 눈맞춤 – 관심과 집중을 표현함

② 고개 끄덕임 및 짧은 반응 – 내담자의 말에 반응하고 있다는 신호 제공

③ 편안하고 개방적인 자세 – 내담자를 수용하고 있다는 메시지 전달

④ 반영과 재진술 – 내담자의 감정과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다는 피드백

⑤ 비판이나 판단 없이 듣기 – 안전한 상담 분위기 조성

 

  1. 상담의 초기단계에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내용을 3가지 쓰시오.(*)

① 상담의 목적과 과정 설명

② 비밀보장의 원칙 안내

③ 상담자와의 라포 형성

④ 내담자의 기대와 욕구 파악

⑤ 상담 목표 및 방향 설정

 

  1. 상담장면에서 ‘생산적인 경청“을 하는 상담자가 보이는 구체적인 태도를 5가지 쓰시오(**)

① 내담자를 향해 몸을 기울임

② 지속적인 눈맞춤 유지

③ 말 중간에 끼어들지 않음

④ 내담자의 말을 반복 또는 재진술

⑤ 감정과 내용을 정확히 반영

⑥ 적절한 침묵 유지

⑦ 언어 외적 표현(표정, 고개 끄덕임 등)으로 반응

 

  1. 내담자의 말을 경청하는 데 있어서 좋은 상담자가 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5가지 쓰시오.(*)

① 주의 깊게 눈을 마주치며 듣기

② 방해 요소 제거(예: 핸드폰, 시계 보기 등 금지)

③ 비언어적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④ 판단하지 않고 열린 자세로 듣기

⑤ 내담자의 말 끝까지 듣고 반응하기

⑥ 내담자의 말의 핵심을 요약 또는 반영하기

⑦ 내담자가 표현하지 않은 감정까지 파악하려 노력하기

 

  1. 효과적인 경청 기술은 몇 가지 기법들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 보기의 빈칸에 들어갈 기법을 각각 쓰시오(*)
내담자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감정들을 거울로 비추듯이 보여주는 것-( A )

내담자의 말을 상담자가 알기 쉬운 언어로 다시 이야기해주는 것-( B )

( A ) 반영

( B ) 재진술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내담자: 나는 도움이 안 되는 사람이에요.

상담자: 그렇게 생각하세요? 도움이 안 되는 사람이라고요? 정말 비참한 기분이겠네요.

내담자: 제 친구가 어제 저한테 그렇게 말했어요

상담자: 그 친구가 당신을 쓸모없는 사람이라고 말했다고요?

보기의 사례에서 상담자가 보여주려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

→ 내담자의 자동적 사고를 확인하고 명료화하며, 인지적 왜곡을 바로잡고 현실 검토를 유도하는 대화입니다.

 

  1. 상담을 위한 면접에서는 내담자의 문제와 상담의 목표에 관계없이 모든 면접에서 공통적인 기본방법이 있다. 면접의 기본방법 5가지 쓰시오(*)

① 경청 – 내담자의 말과 감정에 주의를 기울이며 진심으로 듣는 자세.

② 공감 – 내담자의 감정과 입장을 이해하고 그 마음을 함께 느끼는 것.

③ 반영 – 내담자가 표현한 감정을 상담자가 그대로 되돌려 주는 것.

④ 재진술 – 내담자의 말을 상담자가 자신의 말로 바꾸어 다시 말해주는 것.

⑤ 명료화 – 내담자의 애매하거나 모호한 표현을 분명하게 해석해 주는 것.

⑥ 요약 – 내담자의 말의 핵심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해 주는 것.

⑦ 직면 – 내담자가 회피하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부분을 부드럽게 지적해주는 것.

  1.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TP)에서 사람(Person) 그림을 통해 평가할 수 있는 측면 3가지를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① 자아상(Self-image) – 사람 그림은 피검자의 자아 개념과 자신에 대한 인식을 반영한다.

② 성역할 인식(Gender identity) – 인물의 성별 표현을 통해 성 정체감이나 성 역할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

③ 자기표현 능력(Self-expression) – 자세, 의복, 얼굴 표정 등을 통해 내면 감정이나 표현 양식을 추론할 수 있다.

④ 대인관계(Interpersonal relationship) – 손과 발의 방향, 표정, 시선 등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 방식이나 거리감을 이해할 수 있다.

⑤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s) – 신체의 생략, 왜곡된 표현 등은 무의식적 갈등이나 방어기제를 나타낼 수 있다.

 

  1. 투사적 그림검사인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TP)에서 그림의 크기와 위치가 나타내는 의미를 2가지씩 제시하시오(*)

1) 크기와 관련된 의미

① 너무 작음 – 위축, 열등감, 자신감 부족

② 너무 큼 – 과잉보상, 과장된 자아, 충동성

③ 인물보다 집이나 나무가 현저히 큼 – 사회적 관계보다 환경에 민감

④ 신체 일부 과도하게 큼 – 해당 부위 관련한 심리적 갈등 또는 집착

⑤ 신체 일부 생략 – 불안, 방어, 자아기능의 약화 가능성

2) 위치와 관련된 의미

① 위쪽에 그림 – 이상주의, 비현실성, 공상경향

② 아래쪽에 그림 – 위축, 우울감, 현실회피

③ 한쪽에 치우침 – 심리적 불균형, 감정 기복 가능성

④ 중앙에 안정적으로 배치 – 안정된 자아, 현실감 있는 상태

⑤ 여백이 많음 – 소극성, 불안, 자신감 결여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올해 30세인 A씨는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ㅇㅇ회사에 다니고 있다. A씨는 지난 1년 전부터 회사 직원들을 비롯한 주위 사람들이 자신을 감시하고 있고, 자신의 평소 생각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고 있다며 몹시 불안해하고 있다. 또한 알아들을 수 없는 말들을 혼자 중얼거리는가 하면 종종 문을 걸어 잠근 채 다른 사람들과 만나는 것을 거부하곤 하였다.

당신은 임상심리사로서 A씨와 같이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들을 모아서 정신재활프로그램을 운영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신재활의 기본원리를 5가지만 쓰시오

① 개인의 존엄성과 권리를 존중한다.

② 회복 가능성과 잠재력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한다.

③ 지역사회 내에서의 통합과 적응을 지향한다.

④ 개인의 강점과 자원을 중심으로 계획을 수립한다.

⑤ 자율성과 선택을 최대한 존중한다.

⑥ 다학제적인 접근을 통해 포괄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⑦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지원을 제공한다.

 

  1. 만성 정신질환자에 대한 재활개입 방법을 3가지 쓰시오(*)

① 개별상담 및 심리치료 제공

② 약물 복용에 대한 교육 및 복약 순응 지도

③ 사회기술훈련 및 대인관계 기술 향상 프로그램 운영

④ 직업재활 및 일상생활기술 훈련 제공

⑤ 가족교육 및 가족 상담을 통한 지지체계 강화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서울시 마포구에 사는 A씨는 30대 중반의 전업주부로 결혼 후 직장을 그만두고 별다른 사회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 결혼 후 몇 년이 지나 남편이 회사일을 이유로 거의 매일 늦게 귀가하고 주말에도 집에 머무는 경우가 극히 드물었다. A씨는 자신의 사회경력으로부터도 자신이 꿈꾸던 결혼생활로부터도 멀어지게 되었다고 생각하면서 자신이 사회와 무관한 존재 더 이상 아무런 가치도 없는 존재로 전락해 버렸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었다. 그와 같은 생각은 날이 갈수록 더해졌고 이제는 하루 중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우울한 기분으로 보내야 했다. 결국 A씨는 더 이상 삶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생각에 자살을 할 결심을 하게 되었다.

1) A씨의 증상은 주요 우울장애를 시사한다. 주요 우울장애의 진단 기준에서 주요 우울증을 4가지 기술하시오.

① 거의 매일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

② 흥미나 즐거움의 현저한 감소

③ 체중 변화 또는 식욕 변화

④ 불면 또는 과다수면

⑤ 무가치감 또는 과도한 죄책감

2) 자살 위험성(가능성)에 대한 평가 항목을 3가지 기술하시오.

① 자살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의 유무

② 자살 시도 경험 여부

③ 자살에 대한 충동성 또는 강도

④ 보호요인(가족, 종교, 사회적 지지 등)의 유무

⑤ 정신질환 유무 및 증상의 심각도

3) 자살 위험이 높을 경우 해야 할 대처방법을 3가지 기술하시오

① 즉각적인 보호자 또는 의료기관에 알림

② 자살수단 제거 및 안전 확보

③ 입원치료나 정신과적 응급개입 의뢰

④ 자살위기상담 및 심리치료 개입

⑤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추적 상담 제공

 

  1. 신경심리검사 중 시공간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를 5가지 쓰시오(*)

① 벤더 게슈탈트 검사(Bender Gestalt Test)

→ 도형을 보고 따라 그리게 하여 시지각 통합 능력과 시공간 구성 능력을 평가합니다.

② 레이 복합도형 검사(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 복잡한 도형을 모방하고 회상하여 그리는 검사로, 시공간 능력과 시각적 기억력을 함께 평가합니다.

③ 웩슬러 지능검사 중 토막짜기(Wechsler Block Design)

→ 웩슬러 지능검사의 하위 검사로, 주어진 도형을 작은 블록으로 재구성하게 하여 시공간 구성 능력을 측정합니다.

④ 선 연결 검사(Trail Making Test, Part A & B)

→ 숫자 또는 숫자-문자를 연결하게 하여 시공간 처리 속도 및 시각적 주의력 등을 평가합니다.

⑤ 시각적 재구성 검사(Visual Reproduction, WMS 하위검사)

→ 주어진 그림을 보고 난 뒤 기억하여 재현하게 함으로써 시공간 기억과 구성 능력을 평가합니다.

 

  1. 다음은 상담 초기에 흔히 볼 수 있는 대화이다. 보기의 내용을 읽고 질문에 답하시오(**)
내담자: 선생님. 저는 솔직히 확신이 서지 않습니다. 상담 받고 나면 과연 좋아질까요?

상담자: 그렇게 말씀하시니 다행이군요 솔직하게 이야기한다는 것 자체가 쉽지 않거든요.

내담자: 오해는 마세요 선생님을 믿지 못해서가 아니에요. 단지 상담을 받아도 나아지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 할지 불안해서요.

상담자: ( )

보기에서 내담자는 상담의 효과에 대한 의문과 회의를 표명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상담자는 어떻게 반응해야 하며, 그러한 반응의 근거는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1) 상담자의 적절한 반응 예시

상담자:

“상담을 받는 것이 도움이 될지 확신이 서지 않아 불안하다는 말씀이시군요. 그 솔직한 마음을 이야기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상담을 진행하면서 그 불안한 마음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천천히 지켜보면 좋겠습니다.”

2) 근거

내담자의 불안과 회의감을 판단하지 않고 공감과 수용의 태도로 반응함으로써 상담 관계의 신뢰 형성을 촉진한다.

초기 상담에서는 내담자가 상담 과정에 대한 의심이나 두려움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를 정상적인 반응으로 인정해주고 안심시켜주는 태도가 중요하다.

  1. 정신사회재활에서 재활계획을 위한 4단계를 쓰시오. (**)

① 사정 (Assessment) – 개인의 기능 수준, 강점, 욕구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② 계획 수립 (Planning) – 개인의 목표에 맞춘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계획 설정

③ 개입 (Intervention) – 실제 프로그램 실행 및 다양한 자원 연계

④ 평가 및 수정 (Evaluation and Revision) – 개입 효과를 평가하고 필요시 계획 조정

 

  1. 심리검사의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3가지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

①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

→ 동일한 검사를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두 번 실시하여 점수 간의 일관성을 평가하는 방법

② 동형검사 신뢰도(Alternate-Form Reliability)

→ 내용이 유사한 두 개의 동형 검사를 서로 다른 시간에 실시하여 점수 간의 일치도를 측정하는 방법

③ 반분 신뢰도(Split-Half Reliability)

→ 한 검사를 두 부분(예: 홀수-짝수 문항)으로 나누어 두 부분 점수의 상관을 통해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

④ 문항 내적 합치도(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 검사 내 문항들 간의 일관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 계수가 대표적임

⑤ 채점자 간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

→ 두 명 이상의 채점자가 동일한 반응을 일관되게 평가하는 정도를 비교하여 신뢰도를 확인하는 방법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한 임상심리학자는 최근 자신이 개발한 사회공포증 치료법의 효과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회공포증이 의심되는 20명의 인원을 대상으로 5회기에 걸쳐 치료를 시행한 후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치료 시작 전과 치료 종료 후 실험대상자들에게 자신의 증상에 대한 심각성 수준을 7점 척도상에 평정하도록 하였다. 임심심리학자는 치료 종료 후 실험대상자들에 의한 척도심의 평정점수가 유의미하게 낮게 나왔다는 사실을 토대로 자신의 치료법이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보기의 임상심리학자가 수행한 실험에서 절차상의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3가지 제시하시오

① 문제점1: 통제집단이 없음

→ 대안: 통제집단 또는 비교집단 설정

② 문제점2: 자기보고 척도만 사용됨

→ 대안: 객관적인 평가 도구 및 다면적 자료 수집 활용

③ 문제점3: 사전-사후 설계만으로 인과관계 해석 어려움

→ 대안: 무작위 할당, 반복측정, 장기 추적 등 실험 설계 보완

④ 문제점4: 반복 측정 설계에 따른 검사의 연습효과나 반응 민감성

→ 대안: 동등한 다른 형태의 측정 도구(대체형 척도)를 활용하거나, 측정 간 간격을 충분히 두는 방식으로 설계해야 합니다.

 

  1. 다음 보기는 검사결과 해석의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이를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하시오(*)
ㄱ. 점수가 의미하는 것에 유의하여 결과를 내담자에게 실제로 전달한다.

ㄴ. 내담자가 검사결과 해석을 듣고 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

ㄷ. 내담자가 검사결과가 나타내는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지 숙고하여 해석을 준비한다.

ㄹ. 내담자가 검사결과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 ㄴ → ㄷ → ㄱ → ㄹ

 

  1. 최근 인터넷 중독이 사회적인 관심으로 대두되고 있다. 인터넷 중독이 의심되는 내담자로 하여금 인터넷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추천하는 방법을 4가지만 쓰시오(**)

① 인터넷 사용 시간 제한 및 계획적 사용

② 오프라인 활동(운동, 독서, 외출 등) 늘리기

③ 가족 및 친구와의 실제 대면 관계 강화

④ 인터넷 사용 기록 모니터링 및 자기점검

⑤ 인터넷 사용 목적과 필요성 재인식 훈련

⑥ 대체 활동 개발(취미, 관심사 찾기 등)

⑦ 전문 상담 또는 치료 서비스 연계

 

  1. 자문의 정신건강 모델과 행동주의 모델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1) 정신건강 모델의 특징:

① 자문 대상자의 성장과 발달을 강조

② 예방적·역량 강화 중심

③ 관계 형성과 자율성 존중

2) 행동주의 모델의 특징:

① 관찰 가능한 행동에 초점

② 문제행동 수정 및 기능 향상 중심

③ 자문자는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기법 제시

해설 :

① 정신건강 모델은 자문 대상자의 성장과 발달을 중시하며, 자문자는 문제 해결의 직접적인 지시자가 아니라 촉진자(consultant)로서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이 모델은 예방과 교육을 통해 자문 대상자의 자율성과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둔다.

② 행동주의 모델은 관찰 가능한 행동의 변화를 목표로 하며, 자문자는 행동수정의 전문가로서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이 모델은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고, 강화나 소거 등의 행동주의 기법을 적용해 문제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 두 모델은 자문자의 역할, 목표, 접근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며, 정신건강 모델은 예방과 자율성, 행동주의 모델은 행동변화와 직접 개입에 중점을 둠.

  1. 오포드(Orford)가 제시한 자조집단의 1차적 기능 5가지 쓰시오. (*)

①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 공감과 위로를 주고받으며 정서적 지지를 얻는 기능

② 정보 제공(Providing information)

→ 질병, 대처방법, 제도 등 유용한 정보를 나누는 기능

③ 역할 모델 제공(Providing role models)

→ 회복 중인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희망과 가능성을 배우는 기능

④ 정체감 형성(Developing identity)

→ ‘나만 이상한 게 아니구나’라는 동질감을 통해 자기 정체성 회복을 돕는 기능

⑤ 소속감 형성(Providing a sense of belonging)

→ 외로움과 고립감에서 벗어나 함께함의 경험을 제공하는 기능

⑥ 도움 주는 기회(Providing opportunity to help others)

→ 단지 받기만 하는 게 아니라 다른 사람을 도우면서 자기 효능감을 얻는 기능

⑦ 자존감 향상(Building self-esteem)

→ 함께하는 경험 속에서 자기 가치감과 자존감을 회복하는 기능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A군은 만 7세 4개월로 올해 대구에 있는 oo초등학교에 갓 입학하였다. A군은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이전 유치원에 다녔으며, 당시에는 유치원 선생님의 보살핌으로 별다른 문제를 보이지 않았었다. 그러나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수업에 집중을 하지 못한 채 수업시간 중에도 돌아다니는 모습을 보였고 학업성과도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반 아이들도 A군에게 가깝게 다가가기를 거부하였다. A군의 어머니는 A군의 특이한 상황을 의식하여 그동안 어느 정도 과잉보호를 한 점을 인정하였다.

다음은 A군에 대한 KEDI-WISC 프로파일이다. 이를 토대로 임상심리사가 할 수 있는 자문이나 치료적 개입에 대한 조언을 5가지 기술하시오

하위검사명 평가치 하위검사명 평가치
상식 3 빠진 곳 찾기 6
공통성 8 기호쓰기 6
산수 4 차례 맞추기 6
어휘 9 토막짜기 9
이해 9 모양 맞추기 8
숫자(보충) 6 미로(보충) 7
언어성 IQ : 79 동작성 IQ : 78 전체 IQ : 76

 

1) A군에 대한 자문 및 치료적 개입 조언 5가지

① 학습 및 행동평가를 통한 특수교육 지원 검토

전반적인 인지기능이 낮은 수준(전체 IQ 76)으로 나타나므로, 특수교육 대상자로서의 교육적 배려 필요 여부를 검토하고 학습지원 서비스 연계를 권장함.

② 주의력 및 충동성 조절을 위한 심리치료 및 행동중재

수업 중 돌아다니는 행동과 집중력 저하가 관찰되어,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HD) 가능성을 고려하고, 주의집중 훈련, 자기조절 전략 등의 훈련이 필요함.

③ 사회성 향상을 위한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 참여 권장

또래가 A군에게 가까이 다가가길 꺼리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사회기술훈련(SST) 등을 통해 또래 관계 형성 및 정서적 적응을 도울 수 있음.

④ 보호자 상담 및 양육태도 교정 지도

어머니의 과잉보호적 양육은 아동의 자율성과 독립성 발달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부모교육 및 양육 코칭을 통해 적절한 거리 유지와 일관된 양육방식이 필요함.

⑤ 정기적인 추적평가 및 학교와의 협력 체계 구축

아동의 발달 경과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학교(교사, 특수교사 등)와 협력하여 다각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

⑥ 시지각 및 작업기억 강화를 위한 인지훈련 권장

→ 동작성 영역 일부(토막짜기 9, 모양 맞추기 8)에서 상대적으로 강점을 보였으므로,

시지각 능력과 시공간 구성력을 활용한 인지기능 보완 훈련을 제안할 수 있음.

또한, 산수(4), 숫자(6) 등 작업기억과 주의력이 요구되는 영역에서 어려움이 있어

작업기억 증진 프로그램(예: 간단한 수 기억, 순서 맞추기 등)도 병행할 수 있음.

⑦ 자존감 향상을 위한 정서적 지지와 성공 경험 제공

→ 인지적 어려움과 또래관계의 문제는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자존감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작은 과제를 완수하며 칭찬받는 경험, 강점 영역에서 성취를 경험할 수 있는 활동 등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도록 도와야 함.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검사자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글자 지우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런데 환자는 시야 좌측의 글자를 다 못 지우는 것이었다.

(1) 보기의 사례와 같은 현상을 무엇이라 지칭하는가?

→ 편측무시 (Unilateral Neglect)

(2) 뇌의 어느 반구의 손상인가?

→ 우측 반구 손상 (Right Hemisphere Lesion)

(3) 이와 같은 현상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 종류를 한 가지만 쓰시오

→ 선 지우기 검사 (Line Cancellation Test)

 

  1.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의 주요 호소문재가 명확해지면 상담의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게 된다. 상담 목표 설정 시 지켜야 할 기준을 5가지 제시하시오.(*)

① 구체적이고 명확해야 한다

→ 추상적인 표현보다는 구체적인 행동이나 변화로 표현되어야 함

(예: “자신감 향상” → “회의 때 자신의 의견을 1회 이상 말할 수 있도록 한다”)

② 측정 가능해야 한다

→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량적 혹은 관찰 가능한 형태여야 함

(예: “불안 감소” → “불안 수준이 10점 중 7점 이하로 유지됨”)

③ 현실적이고 달성 가능해야 한다

→ 내담자의 현재 상태와 환경을 고려해 실현 가능한 수준이어야 함

④ 시간적 기준이 있어야 한다

→ 언제까지 이 목표를 달성할 것인지 기간이나 시점이 설정되어야 함

(예: “3개월 이내”, “상담 8회기 종료 시까지”)

⑤ 내담자의 동기와 관련되어야 한다

→ 상담 목표는 상담자가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의 변화 의지와 연결되어야 효과적임

⑥ 내담자 중심이어야 한다

→ 내담자가 직접 목표 설정에 참여하고 동의해야 진정한 변화가 가능함

⑦ 긍정적인 방향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 “하지 않기”보다는 “하기” 중심의 긍정적·건설적인 행동 표현이 바람직함

(예: “화를 안 낸다” → “화날 때 심호흡하고 말로 표현한다”)

 

  1. 해석의 기법과 상담 과정 간의 관계에서 상담 초기, 중기, 후기의 해석 기법을 각 단계별로 쓰시오. (*)

① 초기 – 라포 형성 중심, 간접적 해석 사용

② 중기 – 본격적인 해석 제공, 직접적 해석과 통찰 촉진

③ 후기 – 해석된 내용의 통합과 적용, 행동 변화로 연결

 

  1. 내담자의 반응을 해석할 때의 주의사항을 5가지 쓰시오(*)

① 성급한 해석을 피한다

→ 제한된 정보만으로 빠르게 결론을 내리지 않고, 충분한 자료와 맥락을 고려해야 합니다.

② 객관적인 근거에 기반한다

→ 내담자의 언어, 행동, 표정, 심리검사 결과 등 다양한 자료에 근거한 해석이 필요합니다.

③ 상담자의 편견이나 가치관을 개입하지 않는다

→ 개인적인 경험이나 신념이 해석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④ 해석은 가설로 제시한다

→ “그럴 수도 있겠네요”처럼 유연한 태도로 제시하고, 내담자의 반응을 통해 수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⑤ 내담자의 준비 정도를 고려한다

→ 내담자가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는지, 심리적 상태나 정서 수준을 고려한 해석이 필요합니다.

⑥ 해석은 내담자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 해석이 내담자의 자기이해와 성장에 도움이 되는 방식이어야 하며, 상담자의 통제 도구가 되어선 안 됩니다.

⑦ 해석은 강요하지 않는다

→ 내담자가 스스로 수용할 수 있도록 돕고, 해석을 받아들이지 않더라도 무시하거나 밀어붙이지 않아야 합니다.

 

  1. 성인을 대상으로 한 심리치료와 구분되는 아동심리치료의 특징을 5가지 기술하시오. (**)

① 놀이와 상징적 표현 중심의 치료

→ 아동은 언어 표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놀이, 그림, 인형극 등 상징적 수단을 통해 내면을 표현합니다.

② 부모 및 보호자의 협력이 필수적

→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가정 내 양육환경과 부모의 양육 태도 조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③ 발달 단계에 맞춘 개입 필요

→ 인지, 정서, 사회성 등 아동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치료 목표와 기법이 필요합니다.

④ 치료 관계 형성에 더 많은 시간과 안정감이 필요함

→ 아동은 낯선 성인에 대한 경계가 높고 신뢰 형성에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관계 형성 과정이 특히 중요합니다.

⑤ 주의 집중 시간이 짧고, 정서와 행동이 쉽게 변화할 수 있음

→ 짧은 시간 내 집중이 어려울 수 있어, 치료 구조가 탄력적이고 유연해야 합니다.

⑥ 문제행동은 증상일 뿐, 내면의 표현일 수 있음

→ 아동의 공격성, 퇴행, 과잉행동 등은 정서적 어려움의 표현일 수 있으므로, 행동 그 자체보다 원인을 이해하는 접근이 중요합니다.

⑦ 환경과의 상호작용 영향이 크다

→ 아동은 성인보다 가정, 학교, 또래 등 외부 환경의 영향을 훨씬 크게 받으므로,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1. 아동심리치료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아동의 특성을 3가지 쓰시오.(*)

① 언어 표현 능력의 제한

→ 아동은 자신의 감정이나 문제를 성인처럼 언어로 명확히 설명하기 어려우므로, 비언어적 표현(놀이, 그림 등)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

② 주의 집중 시간이 짧음

→ 긴 시간 동안 한 가지 활동에 집중하기 어려우며, 치료 활동은 짧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음.

③ 정서와 행동의 일관성이 낮고 쉽게 변화함

→ 감정 조절 능력이 미숙하여 상황에 따라 반응이 빠르게 달라질 수 있음. 치료자는 이에 대한 융통성 있는 대응이 필요함.

④ 발달 수준의 차이

→ 아동은 연령과 개인차에 따라 인지, 정서, 사회성 발달 수준이 다양하므로, 치료 접근도 그에 맞춰 조정되어야 함.

⑤ 가족 및 환경의 영향력이 큼

→ 아동은 가정, 학교, 또래 등 주변 환경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존재로, 치료 시 보호자와의 협력 및 환경적 개입이 중요함.

 

  1. 다음 보기는 임상심리학에서 일반적인 자문의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빈칸에 들어갈 내용을 각각 쓰시오(*)
• 제1단계- 질문의 이해

• 제2단계-( A )

• 제3단계-( B )

• 제4단계- 종결

• 제5단계-( C )

✅ 정답:

(A) 평가

(B) 중재

(C) 추적조사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올해 20세인 대학생 A양은 자신의 키에 비해 몸무게가 현저히 덜 나가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더욱 날씬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실제로 음식을 먹고 싶은 마음도 없다. A양의 부모는 걱정스러운 마음에 A양에게 억지로 음식을 권하기도 하나, A양은 먹는 등 마는 둥 하다가 자신의 방으로 돌아와서는 토해 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A양은 집에서는 물론 밖에서도 음식 먹는 자리를 피하였으며 그로 인해 자주 어지러움과 피곤함을 느끼고 최근 몇 달 동안 월경도 멈춘 상태이다. A양은 병원에 가보자는 부모의 걱정이 부담스러워 자신의 신체적인 문제들 일절 말하지 않고 있으며 점점 더 야위어 가는 자신의 모습에 오히려 만족스러워하고 있다.

보기에서 A양의 증상을 토대로 유추 가능한 진단명을 쓰고, 그 구체적인 진단 기준을 기술하시오

1) 진단명

→ 신경성 식욕부진증 (Anorexia Nervosa)

2) 진단 기준 (DSM-5 기준 요약)

① 신체 건강을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에너지 섭취 제한 → 현저한 저체중

② 체중 증가에 대한 극단적인 두려움 또는 체중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행동

③ 현재의 저체중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체중 및 체형에 대한 왜곡된 인식

④ 월경의 중단(무월경) 등 생리적 기능 저하 (여성의 경우 흔히 동반)

 

  1. 만성 정신질환에 대한 재활개입 방법을 3가지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

① 약물치료 관리 – 증상 재발 방지와 안정된 상태 유지에 필수

② 정신사회교육 – 질병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자기 관리 능력 향상

③ 사회기술훈련(SST) – 대인관계,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

④ 직업재활 프로그램 – 취업 준비 및 직무 기술 습득 지원

⑤ 가족 개입 및 상담 – 가족의 이해와 지지 체계 강화를 통해 회복력 증진

 

  1. 만성 정신과 환자의 치료 및 재활을 위한 가족의 태도로서 긍정적인 태도와 부정적인 태도를 각각 3가지씩 쓰시오. (*)

1) 긍정적인 태도 5가지

①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줌

② 질환에 대한 이해와 지식 습득

③ 감정적 지지와 격려 제공

④ 자율성 존중

⑤ 치료에 대한 협력적인 자세

2) 부정적인 태도 5가지

① 비난과 비판 반복

② 지나친 간섭 또는 통제

③ 감정적으로 냉담한 태도

④ 부정적인 낙인 부여

⑤ 치료를 강요하거나 무시

 

  1. 정신질환자의 평가 전 면담 시 유의사항을 2가지 기술하시오(*)

① 비판단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로 접근한다

→ 내담자의 언어, 감정, 행동에 대해 평가하거나 판단하지 않고, 안전하고 신뢰로운 분위기를 조성해야 합니다.

② 면담 환경의 안정성과 프라이버시를 확보한다

→ 불안하거나 과민할 수 있는 내담자를 위해 조용하고 방해받지 않는 공간에서 면담을 진행해야 합니다.

③ 신체적·정서적 안전을 고려한다

→ 자·타해 위험이 있는 경우를 대비해 위기 대응 절차를 사전에 준비하고, 면담 시 내담자의 상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합니다.

④ 언어 수준과 인지 기능에 맞춰 질문을 조절한다

→ 내담자의 인지적, 정서적 상태에 따라 질문의 난이도나 표현 방식을 조절하여 혼란이나 위축을 줄이도록 해야 합니다.

⑤ 면담 목적과 과정을 명확히 설명한다

→ 평가의 목적, 내용, 사용될 정보의 처리 방식 등을 간단명료하게 안내하여, 내담자가 불안감을 줄이고 협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1. 기능성 기억장애와 기질성 기억장애의 예를 한 가지씩 쓰고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

(1) 예시

기능성 기억장애 예: 해리성 기억상실

기질성 기억장애 예: 알츠하이머병

(2) 차이점

기능성 기억장애: 심리적 원인(외상, 스트레스 등)에 의해 발생하며 뇌 손상이 없음

기질성 기억장애: 뇌의 구조적 손상 또는 질병에 의해 발생하며 점진적이고 진행적 특성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내담자: 이건 정말 믿을 수가 없어요 선생님. 지난번 상담을 받을 때 남편이 집에 일찍 들어오겠다고 약속했었잖아요? 그런데 정말로 남편이 제 시간에 맞춰 집에 오더라고요. 그렇게 약속을 잘 지킬 줄 몰랐는데, 정말 깜짝 놀랐다니까요

보기에서 내담자의 말에 대한 상담자의 공감적 반응을 적절히 제시하시오

→ “남편이 약속을 지켰다는 사실이 정말 놀랍고 감동스러우셨군요. 기대하지 않았던 변화가 실제로 일어나서 더 인상 깊으셨을 것 같아요.”

 

  1. 정신역동적 치료의 특징을 5가지 기술하시오

① 무의식의 중요성 강조

② 과거 경험, 특히 초기 관계 경험의 영향 중시

③ 내담자의 방어기제 탐색

④ 전이와 역전이 분석

⑤ 자유연상과 꿈 분석 사용

⑥ 반복적 관계 패턴에 주목

⑦ 통찰을 통한 정서적 변화 유도

 

  1. 다음 보기의 빈칸에 들어갈 용어를 각각 쓰시오(*)
통제자극의 유형 중 어떤 반응이 특정 자극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강화되었다면 이는 ( A )이며, 어떤 반응이 특정 자극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소거되었다면 이는 ( B )이다.

(A) 변별자극 (Discriminative Stimulus)

(B) 자극통제 (Stimulus Control)

 

  1.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인천광역시의 ㅇㅇ 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A군은 부모가 이혼한 상태이다. A군은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으며, 보통 주말이나 방학을 이용하여 아버지와 지내고 있다. A군은 아버지의 말을 잘 따르는 편이고 자신도 아버지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좋아한다. 그런데 A군은 수업시간에 주의가 산만하고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으며, 종종 짜증을 부리는 모습을 보였다. A군에 대한 웩슬러 지능검사 결과 언어성 IQ(VIQ)는 114. 동작성 IQ(PIQ)는 134. 전체 IQ(FIO)는 126을 나타냈다. 특이한 것은 산수에서 7점, 숫자에서 11점으로 다른 하위검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보기의 내용에서 A군의 지능검사 결과 및 신상정보로 유추 가능한 해석을 제시하시오

① 전체 IQ 126으로 우수한 지능 수준

② 언어성 IQ(114)보다 동작성 IQ(134)가 높아, 비언어적 사고나 시각-운동 협응 능력 우세

③ 산수(7점), 숫자(11점)에서의 상대적 저조는 주의력 및 작업기억 관련 어려움 가능성 시사

④ 수업 중 산만함과 짜증은 주의집중 곤란 및 정서적 요인(부모 이혼 등)과 관련될 수 있음

⑤ 전반적으로 정서적 지원 및 학습 환경 조정 필요

 

  1. 치료와 재활의 의미와 차이를 기술하시오 (*)

① 치료(Treatment): 증상의 완화나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직접적인 의학적·심리적 개입

② 재활(Rehabilitation): 질환 이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능 회복과 사회적 적응을 돕는 장기적 지원

③ 차이점: 치료는 병의 회복 자체에 초점, 재활은 회복 이후 생활 적응과 기능 유지에 초점

 

  1. 전화로 어떤 여성이 다급한 목소리로 자신이 방금 강간을 당했다고 보고하면서 두려워하고 있다. 상담자로서 취할 조치 방법을 5가지 기술하시오

① 침착하고 안정된 태도로 반응

② 피해자의 안전 상태 확인

③ 상황에 대한 간단한 정보 파악

④ 피해자에게 비난이나 판단 없이 지지 표현

⑤ 즉각적인 의료적 지원 및 신고 안내

⑥ 보호자 또는 신뢰할 수 있는 사람에게 연결 유도

⑦ 상담기관 및 지원센터 정보 제공

 

  1. 다음 보기의 신경심리검사들이 평가하는 인지기능 영역을 쓰시오.(*)
Contracting Program/Go-No-Go Test / Fist-Edge-Palm / Alternating Hand Movement/ Alternating Square and Triangle / Luria Loop /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COWAT)/Korean-Color Word Stroop Test<-CWST)

전두엽 집행기능(전두엽 실행기능 또는 전두엽 관리기능)

 

  1. 해결중심치료에서 사용하는 해결 지향적 질문유형을 3가지 쓰시오. (*)

① 상담 전 변화 질문

② 예외 질문

③ 대처 질문

④ 기적 질문

⑤ 척도 질문

⑥ 관계 질문

⑦ 목표 설정 질문

 

  1. 임상적 연구나 실무에서 의사결정을 할 때 임상적 판단 및 통계적 판단을 사용하게 된다. 임상적 판단보다 통계적 판단을 사용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장점 및 단점을 각각 2가지 쓰시오(*)

1) 장점

① 신뢰성과 일관성이 높음

② 객관적 자료에 기반함

③ 예측 가능성이 높음

④ 인간의 편견 개입이 적음

⑤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 가능

2) 단점

① 개별 사례에 대한 유연성 부족

② 맥락이나 질적 정보 반영 어려움

③ 인간관계나 감정 고려 어려움

④ 새로운 유형의 사례에 약함

⑤ 해석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

 

  1. 조현병 양성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심리사가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대처방법을 3가지 기술하시오 (*)

① 비논박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로 경청

② 명확하고 단순한 언어 사용

③ 환각이나 망상에 직접 동조하거나 반박하지 않음

④ 불안 완화를 위한 안정된 환경 조성

⑤ 증상이 심할 경우 적절한 정신과적 치료 연계

 

  1. 정신장애의 취약성-스트레스 모델에 대해 설명하시오(*)

→ 개인이 가지고 있는 생물학적 또는 심리사회적 취약성과 외부 환경의 스트레스가 상호작용하여 정신장애가 발병하거나 악화된다고 보는 모델. 스트레스가 동일하더라도 개인의 취약성 정도에 따라 발병 여부가 달라진다.

 

  1. 초기면담 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내담자에 대한 행동관찰의 요소 4가지를 쓰시오(*)

① 외모와 위생 상태

② 행동의 긴장도

③ 시선 접촉

④ 언어 표현의 명료성

⑤ 정서적 표현(표정, 어조 등)

⑥ 운동성(초조, 지체 등)

⑦ 반응성(질문에 대한 반응 속도와 방식)

  1. 강박장애의 심리적 치료방법으로서 노출 및 반응방지법(ERP)의 원리 및 시행순서를 기술하시오.(*)

원리: 불안 유발 자극에 반복적으로 노출시키되, 강박행동을 하지 않도록 하여 불안의 자연소멸을 유도함

시행순서:

① 불안 위계 작성

② 이완훈련(선택)

③ 낮은 단계부터 노출 시작

④ 반응 방지(강박행동 억제)

⑤ 반복 훈련을 통한 불안 감소

 

  1. 현 병력(History of Present tress)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포함되어야 할 사항을 5가지 쓰시오(*)

① 주요 증상의 시작 시점

② 증상의 경과 및 변화

③ 증상의 빈도 및 강도

④ 관련된 상황 또는 촉발 요인

⑤ 증상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⑥ 과거 치료 및 약물 복용 여부

⑦ 현재 증상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error: Content is protected !!